한덕수 국무총리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정부가 경기 용인·평택 등 7개 지역을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 614조원에 달하는 민간투자를 지원한다. 핵심전략사업인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초격차 확보를 위한 정책이다. 충북 오송을 포함한 5개 지역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로 선정됐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를 열고 △용인·평택·구미(반도체) △청주·포항·새만금·울산(이차전지) △천안·아산(디스플레이) 7개 지역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결정됐다. 이곳에서 오는 2042년까지 614조원에 달하는 민간투자와 더불어 정부 지원이 이뤄진다.
특화단지는 총 21개 지역이 신청했으며 △선도기업 유무 △신규투자 계획 △산업 생태계 발전 가능성 △지역균형발전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해 최종 지정했다.
우선 경기 용인·평택은 562조원 민간투자 계획을 내세워 특화단지로 결정됐다. 정부는 용인·평택 지구를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로 육성할 계획이다. 경북 구미는 반도체 공정 핵심 원재료 공급기지로 특화한다.
이차전지 분야의 경우 광물 가공(새만금), 양극재(포항), 배터리 셀(청주·울산), 재활용(새만금)으로 이어지는 국내 '이차전지 밸류체인' 완성이 목표다. 삼성디스플레이와 협력업체가 모여있는 천안·아산은 생산 및 R&D 관련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초격차 달성을 위한 생산과 혁신 거점으로 육성한다.
정부는 이번 지정된 특화단지에 다양한 혜택을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인·허가 신속처리는 물론 △용적률 완화 △킬러규제 혁파 △세제·예산 지원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을 포함한 맞춤형 패키지를 지원한다.
올 하반기에는 특화단지 맞춤형 세부 육성 계획을 마련하고, 산·학·연 협력과 기업 애로 해소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범부처 지원 협의체'도 구축한다.
이외에도 정부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 8곳을 선정했다. 융복합 교육과정 설계와 우수교원 확보, 실습 및 교육환경 구축 등을 위해 올해 540억원이 지원된다.
타 첨단전략산업으로도 특성화대학 지정을 확대하고, 지난 5월 선정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원'과의 연계를 통해 산업현장 수요에 맞는 실무·고급인력을 키울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의를 통해 △경기 안성(반도체 장비) △충북 오송(바이오 원부자재) △광주(자동차 부품) △대구(전기차 모터) △부산(전력반도체) 5곳이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했다.
소부장 특화단지는 2021년 2월(5곳)에 이어 두 번째 지정이다. 이들 5개 지역에는 2032년까지 6조7000억원 규모 민간투자가 이뤄진다.
정부 관계자는 "하반기 특화단지별 맞춤형 세부 육성계획을 마련하고, 산·학·연 협력과 기업 애로 해소 등을 지원하는 '범부처 지원 협의체'도 구축할 예정"이라며 "지난 5월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신규 지정된 바이오산업도 하반기 특화단지를 공고해 내년 상반기 중 지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