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주택 시장이 크게 흔들리는 분위기다. 전국적으로 미분양 사태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지만, 서울 중심으로 일부 수도권의 경우 완판 사례가 나타나는 등 회복세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부동산 바닥론'을 거론하지만, 아직 속단하기 이르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7만1365호)은 전월대비 1.0%(739호) 줄었다. 11개월 만에 감소로 돌아선 3월 이후 두 달 연속 감소한 만큼 시장 회복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실 지난해 9월 전후 불거진 PF(프로젝트파이낸싱) 상환 위기와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금리 기조로 인해 주택 시장 불황이 이어진 바 있다. 그러던 중 글로벌 금융권 위기감이 고조되면 연준 금리 인상 폭이 줄어드는 등 안정세를 보이자 주택 시장 내 새로운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부터 큰 폭의 증가세를 이어왔던 미분양 주택이 올초 규제지역 해제·전매제한 완화 등 규제완화 정책 이후 7만호를 정점으로 꺾이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대규모 미분양 사태가 우려된 서울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 주공)은 무순위 청약 등을 거쳐 최종 계약 완료에 성공했다. 정부 규제 완화 등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업계 진단이다.
물론 올해(1~4월) 분양 물량 비정상적으로 감소했다는 점에서 최근 미분양 추이를 확대 해석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4월까지 누적 전국 공동주택 분양(3만9231호)은 지난해와 비교해 50.3%나 줄었다. 즉 미분양 감소 요인이 단순 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에 기인한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국내 기준금리를 좌우하는 미 연준 추가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미 연준 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처럼 글로벌 금융 위기가 해소되지 않은 만큼 국내 주택 시장 역시 회복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달리 일각에서는 올해 분양 물량 감소 및 대외적 요인 등으로 인해 결국 시장 흐름이 전환될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들이 제시하는 근거는 바로 분양 물량 감소와 분양가 인상이다.
업계 관계자는 "다수 건설사들이 시장 상황에 따라 분양 일정을 미루고 있어 서울을 포함한 일부 수도권에 한해 결국 향후 2~3년 뒤 '주택 공급 부족 심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아울러 분양가 인상도 청약 시장 호재로 꼽힌다. 그동안 '고가 논란'이 끊이지 않던 분양가가 수요자들이 청약 시장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격(3.3㎡당)은 1598만원으로 △2월 1560만원 △3월 1585만6500원에 이어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분양가 상승세는 하반기에도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지만, 최근 건자재 및 인건비 등 공사비 인상 추세를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체 주택시장이 아닌 분양 시장 한정, 정부 규제 해제 이후 시장을 중심으로 청약 심리가 서서히 살아나는 분위기"라며 "특히 올 들어 분양가의 지속적 상승세로 불안 심리가 커지면서 분양시장으로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