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19조 규모' 글로벌 탈모 시장 잡을 국내 업체 '주목'

주식시장서도 각광받는 분야…"약가 압박이나 비보험에도 수요 높을 것"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3.05.09 10:39:20

'인류의 영원한 숙제'인 탈모 시장을 공략을 위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속도를 내고 있다. = 박기훈 기자


[프라임경제] '인류의 영원한 숙제'인 탈모 시장 공략을 위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벌 탈모시장 규모는 연평균 8.1% 성장중이다. 오는 2028년 142억달러(약 18조81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기존 탈모치료제의 효능과 안정성 등을 뛰어넘을 탈모 치료제가 나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한탈모치료학회 연구에 따르면 국내 탈모 인구는 약 1000만명이다. 관련 시장만 4조원대로 집계되고 있다. 

탈모는 과거 중장년 혹은 노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하지만 옛 말이 된지 오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탈모 진료를 받은 환자 23만4780명 중 20대와 30대가 10만2812명으로 44%를 차지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탈모치료제는 계속해서 개발·출시되고 있다. 

탈모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국내 제약사들 중 가장 대표적인 곳은 JW중외제약(001060)이다. 현재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전의 탈모치료제 신약 'JW0061'을 개발중이다. 

JW0061은 'Wnt' 표적 탈모치료제 신약후보물질이다. 피부와 모낭 줄기세포에 있는 세포조절물질 Wnt의 신호전달경로를 촉진해 모낭 증식과 모발 재생을 촉진하는 기전이다.

JW중외제약은 지난 달 'JW0061'에 대해 러시아 특허청으로부터 특허를 취득했다. JW0061의 물질 특허가 등록된 것은 처음으로, JW중외제약은 현재 한국을 비롯 미국·유럽·일본·중국 등 해외 10여 개국을 대상으로도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이번 특허는 Wnt 신호전달경로 기반의 탈모치료제 신약후보물질에 관한 것으로, JW0061의 신규한 헤테로 사이클 유도체, 이의 염 또는 이성질체​ 그리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안드로겐성 탈모증, 원형 탈모증과 같은 탈모 증상에 효과적이고 예방효과도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JW0061은 내년 임상시험 개시를 목표로 비임상 독성평가를 진행 중에 있으며, 미국에서 피부과 의료진과 공동 연구도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해 11월엔 JW0061 동물실험 결과 모발 성장과 모낭 신생성 효과를 확인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위약군 대비 평균 50일 이상 소요되는 모발 생장기 진입 시점을 JW0061 도포로 15일 이상 앞당겼다.

JW중외제약은 동물 모델에서 △JW0061 △표준치료제 △위약 등을 각각 실험부위에 도포한 결과, 약물 도포를 시작한지 34일째 기준 위약군 대비 JW0061의 우수한 모발 성장과 모낭 신생성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표준치료제 대비 동등 이상의 발모 효과를 검증했으며, JW0061과 표준치료제 병용요법은 최대 발모 효과를 냈다. ⓒ JW중외제약


현재 탈모치료제로 처방되는 대표적인 약물 피나스테리드, 두타스테리드는 남성 탈모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JW0061의 경우 남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바르는 약물로 개발되고 있어, 기존 탈모치료제를 보완할 수 있는 혁신신약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JW0061의 임상 진입 전 기술수출에 대한 가능성도 예측되고 있다. JW중외제약은 자사가 개발한 아토피 치료제 JW1601을 전임상 단계에서 덴마크의 제약사로 기술수출을 한 이력도 있어 더욱 그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중견·중소기업들의 약진도 돋보인다. 리보헥산간섭기술(RNAi) 기반 난치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신약 바이오 기업 올릭스(226950)는 지난 3월 호주 인체연구 윤리위원회(HREC)로부터 남성형 탈모치료제 'OLX104C'의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으며 주목받았다. 

'OLX104C'는 세계 최초로 임상에 진입하는 RNA 탈모치료제가 됐다.

남성형 탈모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환원효소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변환되고, 이것이 다시 안드로겐 수용체(AR)와 결합해 모낭에 작용하며 시작되는 질환이다.

OLX104C는 올릭스 원천기술인 자가전달 비대칭 siRNA(cp-asiRNA)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탈모치료제다. 안드로겐 수용체 발현을 줄여 남성형 탈모를 일으키는 호르몬 활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전임상 효력시험 결과, 약물의 장기 효력(약 3주)이 확인돼 자주 복용(투여)해야 하는 기존 치료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발견되기도 했다.

또한 두피에 국소 투여한 약물이 탈모 부위에서만 고농도로 유지돼 혈중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기존 탈모 약물의 전신 노출에 따른 성 기능 저하, 우울감 유발, 가임기 여성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등 한계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업체의 설명이다. 

건강기능식품 전문 기업 프롬바이오(377220)는 지난 2일 모유두세포로 분화시킨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탈모치료제 전임상 연구에서 발모 효과 입증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프롬바이오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에서 Wnt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해 모유두세포로 분화하는 원천기술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 개발한 분화유도 세포를 이용하여 GLP 인증기관을 통해 전임상 효력시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누드마우스에서 발모 효능을 확인했으며, 모유두세포를 직접 피부에 주사한 것과 비교했을 때 동등 이상의 발모 효과가 나타난 것을 입증했다. 

누드마우스의 머리 부위에 프롬바이오의 분화세포를 1회 주사한 결과 4주차부터 털이 자라기 시작했다. 모발 성장 효능을 조직병리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피부의 두께도 증가하면서 모낭 신생성 효과도 나타남을 확인했다.

피플바이오 자회사인 파마코바이오와 성균관대는 지난 3월 천연물 추출 탈모치료제 기술이전·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강성민 피플바이오 대표(좌)와 조재열 성균관대 융합생명공학과 교수(우). ⓒ 피플바이오


피플바이오(304840)는 최근 연결종속 회사이자 천연물 치료제 개발 기업인 파마코바이오에서 기술이전한 천연물 기반 탈모 예방·치료 추출물을 치료제와 의약외품 등으로 적극 상용화할 계획을 밝히며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가장 최근엔 성균관대와 특허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전 받은 기술은 국립생물자원관과 조재열 성균관대 융합생명공학과 교수 연구진이 2020년 8월부터 공동 연구한 프로젝트로 캄보디아 야생식물 '코나루스세미데칸드러스' 추출물에서 탈모 예방과 치료제로써 우수한 효능을 확인한 특허기술이다. 

특히 조재열 교수 연구진은 탈모증이 있는 실험용 쥐에 코나루스세미데칸드러스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탈모 치료제 '피나스테리드'를 바른 쥐보다 발모 촉진과 모발 건강에 더욱 효과가 좋다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도 인벤티지랩(389470)은 장기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IVL-DrugFluidic' 기술을 통해 현재 남성형 탈모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지난 달엔 해당 제조 플랫폼 기술 관련 논문이 국제학술지 '오픈나노(OpenNano)'에 게재되기도 했다.

해당 논문은 '미세유체역학 기반 플랫폼 기술인 IVL-DrugFluidic®를 이용한 고분자 미립구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대량 생산'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한편, 탈모를 비롯해 일상에 행복을 주는 약, 이른바 '해피 드럭(happy drug)'은 주식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써 투자자들 역시 늘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다. 

이와 관련해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해피 드럭 및 라이프스타일 드럭은 고령화로 인한 약가 압박이나 비보험이라고 해도 수요가 높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