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초거대 AI 공급사' 마인즈랩, '산업별 특화 챗GPT' 국내 최초 개발

언어모델 연결 통한 AI 서비스·비즈니스 개발 '마음오케스트라 3.0'도 오픈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3.03.13 11:10:12

마인즈랩이 챗GPT 알고리즘에 산업과 도메인에 특화된 지식을 학습시킨 '마음GPT' ⓒ 마인즈랩


[프라임경제] 마인즈랩이 챗GPT 알고리즘에 산업과 도메인에 특화된 지식을 학습시킨 '마음GPT(maumGPT)'를 선보인다. 또한 챗GPT 등 초거대 언어모델을 사용해 AI(인공지능)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AI 엔진 '마음오케스트라 3.0'도 내놓는다.

마인즈랩 관계자는 "마음GPT와 마음오케스트라 3.0 모두 지난 10일 회사 내부적으로 이미 오픈했다"며 "금일(13일) 대외적으로 공개했다"고 말했다.

마인즈랩은 국내 초거대 AI 공급업체로 선정된 이후 산업·도메인에 활용 가능한 초거대 언어모델을 개발해 왔다. 마인즈랩은 앞서 지난해 8월 네이버(035420), KT(030200)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초거대 AI API 시범 서비스 지원 공급자에 선정된 바 있다.

마인즈랩은 챗GPT 알고리즘이 공개된 후에 그동안 수집해 온 산업과 도메인의 데이터셋을 발 빠르게 챗GPT 알고리즘 위에 학습시켜 왔으며, 현재 학습 중인 수 십 개의 산업 도메인 중에서 우선 뷰티 도메인을 오픈한다. 

챗GPT가 전반적으로는 탁월한 언어 이해와 생성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특정한 지식에 대해서는 아직 답변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아쉬운 측면이 있었다. 마인즈랩은 챗GPT의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 보완하는 산업용 AI 챗봇 연구개발에 주력해왔다. 

그 결과, 특화된 영역에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산업·도메인 GPT 연구개발에 성공했다. 이번에 오픈한 '마음GPT-뷰티(maumGPT-Beauty, 뷰티 도메인의 챗GPT)'의 경우 뷰티와 화장품 영역에서 꽤 정확한 답변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인즈랩은 현재 학습 중인 △교육 △엔터테인먼트 △생활 △건강 △스포츠 △사회 △경제 △법률 등 다양한 도메인 챗GPT를 차례차례 하나씩 오픈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렇게 산업별로 오픈하는 마음GPT 챗봇들은 마인즈랩 홈페이지 마음AI(maum.ai)에서 제공하는 통합 챗봇화면에서 챗GPT 등 다른 초거대 언어모델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마인즈랩은 똑똑한 챗봇들을 연결해 나만의 AI 사업과 서비스를 만들고자 하는 AI 서비스 개발자와 사용자들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마음오케스트라를 3.0으로 업그레이드해 선보인다.

챗GPT가 나온 이후로 세계 많은 기업·개인들이 챗GPT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엄청나게 다양한 창의적인 제품과 서비스들이 속속 나타나는 추세다.

△여행가이드 △메뉴추천 서비스 △동시통역 △시나리오 작가 △개발자 코드 오류 수정 등 다양한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할 때 마음오케스트라에 이미 연동된 △챗GPT △GPT-3 △마음GPT △음성인식 △음성생성 △이미지인식 등 다양한 인공지능 엔진들과 △뉴스 △날씨 △환율 △검색 등 다양한 오픈API 서비스들을 레고블럭처럼 연결해서 만들면 된다. 

마인즈랩 관계자는 "이번 3.0 버전에서는 봄옷을 갈아 입은 새로운 화면이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높인다"고 강조했다.     

마음오케스트라는 국내 고객 뿐만 아니라 미국 등 해외 고객으로부터 많은 의뢰를 받으며 다양한 산업의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아울러 인공지능 산업 관계자들의 관심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스타트업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해커톤 행사 '마음톤'도 진행 중에 있다.     

'마음톤'은 마음오케스트라에 연동된 챗GPT 등 초거대 AI를 활용해 AI 서비스를 개발해 출품 하면 이 중 5개의 서비스를 선정해 각각 500만원씩 시상하고, 사업 아이디어가 뛰어난 경우 사업화까지 지원하는 행사다. 

한편, 마인즈랩은 이번에 오픈한 마음GPT와 마음오케스트라 3.0에 이어 실제로 직업별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3세대 인공인간 M3를 오는 4월5일 열릴 마음AI(maum.ai) 2.0 행사에서 선보일 예정이며, 해당 행사를 통해 마음GPT와 마음오케스타 3.0도 접할 수 있다.

유태준 마인즈랩 대표는 "최신 AI 기술인 챗GPT를 산업과 도메인에 특화해 현재 수 십 개의 산업에 맞춤형 학습을 시키고 있다"며 "매 주 하나씩 새로운 산업과 도메인 챗GPT를 오픈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또한 이것을 기존의 음성기술, 시각기술 등과 통합해서 실제 산업현장에 투입해서 일할 수 있는 인공인간의 형태로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