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오는 8월 전국에서 1만4720세대 아파트가 새롭게 입주 체제에 돌입한다. 이는 올해 월평균 입주물량(2만90세대)을 하회하는 수준인 동시에 전월인 7월(1만7081세대)보다 14%(2361세대) 감소한 수치다.
직방 조사에 따르면, 권역별로는 △수도권 8985세대 △지방 5735세대가 입주한다. 특히 수도권은 △6월 1만3977세대 △7월 1만272세대에 이어 8월에도 입주 물량이 줄면서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감소 흐름은 9월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권역별 입주물량 비교 및 수도권 입주물량 추이. © 직방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7360세대로 가장 많으며 △인천 1343세대 △서울 282세대 순이다.
경기는 평택·고양·화성·파주 등 택지지구 중심으로 신축 아파트 공급이 이뤄진다. 주요 단지로는 △평택 화양휴먼빌퍼스트시티(1468세대)·고덕자이센트로(569세대) △고양시 일산동구 더샵일산퍼스트월드 1·2단지(1603세대) △화성 아테라파밀리에(640세대)·숨마데시앙(616세대)이 입주를 시작한다.
인천은 계양구 제일풍경채위너스카이 A·B블록(1343세대)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서울에서는 유일하게 강남구 대치동 '디에이치대치에델루이(282세대)'가 입주한다. 해당 단지는 구마을 제3지구를 재건축한 단지로, 대치 학군·정주 여건을 갖춘 점에서 분양 당시 수요자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지방에서는 △충남 1802세대 △대구 1300세대 △부산 1014세대 △강원 456세대 등 입주가 이어진다.
충남은 △천안시 동남구 청당동 롯데캐슬더청당(1199세대) △아산 권곡동 아산한신더휴(603세대)가 입주를 시작한다. 이외에도 △대구 서구 내당동 두류역자이(1300세대) △부산 부산진구 부암동 시민공원비스타동원(440세대)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업계에 따르면, 입주물량 감소세와 함께 최근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 여파도 신축 아파트 입주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6월28일 이후 입주자 모집공고 단지부턴 수도권·규제지역 중심으로 분양가와 관계없이 주택담보대출(잔금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면서 수분양자 자금 부담이 확대됐다. 물론 6월27일까지 모집공고가 나온 단지는 종전 규정이 적용된다.
아울러 입주자 모집공고 시점과 관계없이 모든 단지에서 소유권 이전등기 전에는 세입자 전세대출 이용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세입자가 전세대출을 통해 보증금을 마련하고, 그 자금으로 수분양자가 잔금을 납부하는 방식은 사실상 차단됐다.
이런 규제 변화로 일부 수분양자는 자금 여력이 있는 세입자만을 받아들이거나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 결과 입주율 저하와 함께 전세시장 축소, 월세 전환 흐름이 동시에 나타나는 모습이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6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60.9%)은 전월대비 6.3%p 하락했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주택 매각 지연, 잔금대출 확보 난항, 세입자 미확보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라며 "여기에 대출 규제 강화로 기존 주택 거래마저 위축되면서 신축 아파트 입주시장 전반에도 관망 기조가 확산되고 있으며, 당분간 이런 흐름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