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는 집중호우에 대응하기 위해 풍수해 위기경보를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비상단계를 최고 수준인 3단계로 올렸다.
중대본 본부장인 김민재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에 따라 중대본 근무자가 증원되고, 가용경찰력·장비 총력 지원, 부처별 재난상황실 확대 운영 등이 이뤄진다.

17일 오전 호우경보가 내려진 충남 공주시 유구읍 유구리 관광지인 유구 색동수국정원이 범람한 하천에 형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망가져 있다. ⓒ 연합뉴스
중대본 3단계는 부처와 유관기관 비상대응 태세의 최고 수준이다. 지난 2022·2023년 태풍과 호우로 각각 1차례씩 발령된 바 있다.
중대본은 행안부 국·과장급으로 구성된 현장상황관리관을 전국에 급파한다. 집중호우 기간 중앙과 지방의 유기적인 협조를 공고히 하고, 실시간으로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다.
이미 300∼400㎜ 수준의 비가 쏟아진 상황에서 오는 20일까지 최대 300㎜의 추가 강수가 예보된 만큼, 보다 신속한 통제와 선제적인 대피에 중점을 두고 가능한 최고 수준으로 총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김민재 중대본부장은 "정부는 집중호우 상황에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대응할 것이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집중호우 시 외출을 삼가고, 저지대·하천변·산사태 위험지역 등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접근을 자제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