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뉴욕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말 사이 유럽연합(EU)과 멕시코 등에 추가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이 열려있다는 발언과 주요 교역국 대부분의 관세율 발표로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강세 마감했다.
현지시간으로 14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88.14p(0.20%) 오른 4만4459.65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8.81p(0.14%) 오른 6268.56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54.80p(0.27%) 오른 2만640.33로 장을 마쳤다.
지난 주말 트럼프 대통령은 EU와 멕시코에 관세 30%를 8월 1일부터 부과한다고 밝혔으나 EU와 멕시코는 보복 보다는 협상에 무게를 둘 것으로 예상되며 관세율이 더 낮아질 것으로 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EU는 다른 종류의 거래를 원하고 있다"며 "우리는 언제든지 대화할 준비가 돼 있으며 이는 유럽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그들이 이곳(미국)에 올 예정이고 대화를 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 기술주는 서로 엇갈리는 흐름을 보였다.
메타는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개발을 위한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을 밝히며 0.48% 상승했다. 이외에 테슬라(1.1%), 알파벳(0.8%), 브로드컴(0.4%), 아마존닷컴(0.3%) 등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엔비디아는 전일대비 0.52% 내린 164.07달러로 거래를 마쳤고, 마이크로소프트(-0.06%), 애플(-1.20%) 등도 하락했다.
특히 팔란티어는 5% 가까이 급등했다. AI*정부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 속 웨드부시 증권이 목표주가를 16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는 소식이 매수세가 몰렸다.
국채금리는 장기금리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1.4bp 오른 4.437%를 기록했다. 30년물 국채금리도 2.4bp 상승한 4.981%에 거래를 마쳤다.
다만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1bp 내린 3.904%로 집계됐다.
달러는 역시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27% 오른 98.12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2% 이상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50일 이내로 우크라이나와 휴전에 합의하지 않을 시 러시아와 러시아 교역국을 상대로 100%의 2차 관세를 물리겠다는 소식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47달러(2.15%) 내린 배럴당 66.98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9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1.72달러(2.51%) 오른 70.36달러에 장을 마쳤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27% 내린 7808.17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23% 내린 5370.85를 기록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64% 오른 8998.06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39% 내린 2만4160.64에 거래를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