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은행 원화대출 부문별 연체율 추이. ⓒ 금융감독원
[프라임경제] 지난 4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한 달 만에 다시 상승했다. 내수 회복 지연과 대외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 등 중소기업의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한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27일 발표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57%로 전월 말(0.53%) 대비 0.04%포인트(p) 상승했다. 전년 동월(0.48%)과 비교하면 0.09%p 상승했다.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000억원 감소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7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2조4000억원 줄었다. 신규연체율은 0.12%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매각 등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감소한 영향으로 전월 대비 연체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68%로 전월 말(0.62%) 대비 0.06%p 상승했다. 이중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3%로 전월 말(0.11%) 대비 0.02%p 상승하는데 그쳤으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83%로 전월 말(0.76%) 대비 0.07%p 상승했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0.89%로 전월 말(0.80%) 대비 0.09%p 늘며 한 달간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74%로 전월 말(0.71%) 대비 0.03%p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 말(0.41%) 대비 0.02%p 올랐다. 주택담보대출은 0.30%로 전월 말(0.29%) 대비 0.01%p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6%로 전월 말(0.79%) 대비 0.07%p 늘어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및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자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며 "개인사업자 등 취약차주의 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연체 우려 차주 등에 선제적인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