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집권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당 대표 선거가 친명(친이재명)계 인사들의 양자 대결 구도로 치러지게 됐다.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4선의 정청래 의원과 3선의 박찬대 의원은 지속적으로 현안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 일정을 소화하며 존재감을 드러내는 상황이다.
앞서 정 의원이 당 대표 선거 출마를 먼저 선언했고, 지난 23일 박 의원이 출사표를 던졌다.
정 의원은 24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권투로 치면 저는 강력한 인파이터, 박 의원은 아웃복서라 볼 수 있다"며 "검찰·사법·언론 개혁을 3개월 내로 전광석화처럼 해치울 강력한 개혁 당 대표를 기대하는 분들은 저를 선호할 것이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왼쪽)·박찬대 의원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손잡고 있다 ⓒ 연합뉴스
그는 야당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통합이나 협치, 이런 공은 대통령에게 돌리고 당에서는 설령 부딪히더라도 다수결 원칙에 의해서, 법사위원장 때처럼 당 대표도 하겠다"고 말했다.
국회 법사위원장 시절 '내란 특검법' 등의 법사위 통과를 주도한 것처럼, 당 대표로서 정부 개혁 드라이브를 강력하게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박 의원은 지난 23일 출마 선언을 통해 "이재명의 위기는 곧 박찬대의 위기이고, 이재명의 도전은 곧 박찬대의 도전이다"며 "이미 검증된 이재명-박찬대 '원팀'이 앞으로도 원팀으로 과제를 완수해나가겠다"고 했다.
24일에는 국립서울현충원과 백범 김구 묘역을 참배했다. 그는 방명록에 '정의로운 통합과 유연한 실용으로 빛의 혁명을 완수하고 국민주권 시대를 열어가겠습니다'라는 글을 남겼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대표 사진도 '검증된 당정대 원팀으로 유능한 개혁정치 완성'으로 변경했다. 이 대통령의 민주당 대표 재임 당시 자신이 원내대표로 호흡을 맞춘 점을 내세워 안정적인 당정관계를 구현할 적임자임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두 후보 모두 이 대통령과 단짝 조합임을 부각하며 출사표를 던진 만큼, 향후 당권 레이스는 이들 간의 선명성 경쟁으로 흘러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