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파라다이스가 지난 주말 인천 영종도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아시안 팝 페스티벌(이하 '아팝페')을 올해 두 번째로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아시아의 대중음악을 한국 팬들에게 소개하는 한편, 한국의 실력있는 뮤지션들이 '페벌(페스티벌)'을 통해 해외 아티스트들과도 교류하는 장을 마련하자는 취지다.
지난 21일 새벽까지 쏟아졌던 비가 극적으로 멈추고 선선한 날씨 속에 진행된 아팝페의 본격 포문은 스카 밴드 '킹스턴 루디스카'가 열었다.
홍대 '탈진 로큰롤'로 불리는 결성 20년 차 하드록 밴드 '갤럭시 익스프레스'도 포효했다. 베이스 이주현은 쉼 없이 노래를 불렀다. 관객들은 서클핏을 돌고 몸을 부딪쳐가며 록페스티벌 특유의 문화인 '슬램'을 즐겼다.
이외에도 '실리카겔', 인도네시아의 '롬바 시히르(Lomba Sihir)', 일본의 '하쿠(HAKU.)', 백예린의 '더 발룬티어스', 백현진, 이승윤, 허회경, 너드커넥션 등 사색있고 지적인 음악들이 팝의 다양한 얼굴들로 선보였다.

파라다이스시티 '아시안 팝 페스티벌 2025' 메인 스테이지 전경. © 파라다이스시티
관람객들은 4개의 실내외 공연장을 골고루 돌아다니며 시설 곳곳을 이용했다.
이번 아팝페의 가장 큰 백미는 아시아 최고 수준의 호캉스 인프라 뿐만 아니라 치밀하게 설계된 상설 공연장의 최고급 음향 환경이었다.
'키라라' '이디오테입' 등 일렉트릭 뮤지션들이 전자음악을 실연한 클럽 크로마는 평소 투숙객이 아닌 일반 음악팬들이 찾기 어려웠던 곳으로, 탱크가 밀고 들어오는 듯 단단한 우퍼 사운드가 VJing(Visual Jocking)과 어우러져 새로운 음악적 감동을 선사했다.
또한 하우스 밴드가 상설로 무대에 서는 라이브 뮤직바 '루빅' 스테이지는 찰랑이는 음의 입자가 구석구석 홀을 채워 일반 소극장이나 클럽 공연에서 느낄 수 없었던 생생함을 전달했다.
파라다이스는 문화예술과 결합한 '호스피탈리티(Hospitality)'의 일환으로서 젊은 관객들이 파라다이스의 기업철학인 '아트테인먼트'를 통한 'Happy Mories'를 문화적 경험을 넓히는 데 초점을 맞춰 행사를 기획했다.
또한 해외 '델리게이터(공연기획자)'들을 초청하고 국내외 뮤지션들이 활발히 교류하는 공간인 '아티스트 라운지'를 운영하는 등 음악적 생태계가 풍성하게 가꿔질 수 있도록 꼼꼼히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한편 이번 아시안 팝 페스티벌을 성공적으로 이끈 파라다이스문화재단은 기업재단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해 전문성을 통해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파라다이스 관계자는 "기업의 사회적 역할로서 문화적 측면에도 많은 힘을 쏟고 있다"며 "건강한 페스티벌 문화를 통해 대중음악이 더욱 다양해지고 아티스트들의 국제적 교류도 활발해지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