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가 국내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위한 정예팀 공모에 나선다. 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 성능 목표로, 최대 5개팀을 선정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참여자를 다음 달 21일까지 모집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앞서 과기정통부가 '월드베스트거대언어모델(WBL)'로 가칭했던 프로젝트의 정식 명칭이다.
국내 AI 기업·기관 중심의 정예팀(컨소시엄 가능)을 대상으로 공모하며, 최대 5개 정예팀을 선발한 후 단계평가로 경쟁시켜 압축할 계획이다. 특히 미래 인재 육성 관점에서 대학·대학원생 참여를 필수로 한다.
개발할 AI 파운데이션 모델은 거대언어모델(LLM), 멀티모달모델(LMM) 등이다. 6개월 이내 출시된 최신 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표와 방법론 등은 6개월 단위 단계 평가마다 '무빙타깃' 방식으로 진행할 방침이다.
팀은 구체적인 AI 모델 개발 전략과 방법론을 주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정부는 성능 목표만 제시하는,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방식이다.
참여팀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희망 자원을 자유롭게 제시하고 추후 평가 등으로 적정규모 검토 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12월 예정인 첫 번째 평가는 경연대회 형식으로 국민과 AI 전문가 평가가 진행되며 국내외 벤치마크와 한국어 성능·안전성 검증 체계 평가 등이 반영된다.
정예팀으로 선발된 컨소시엄들에 지난 1차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GPU 1만장 사용을 지원한다. 정부 구매분 국내 도입 전에는 민간 보유 GPU를 빌려 쓰도록 하는데 팀당 GPU 500장으로 시작해 1000장 이상으로 지원 규모를 늘린다.
데이터는 팀당 연 100억원 규모의 공동구매와 함께 30~50억원 규모의 구축·가공 예산을 지원한다. 해외 우수 인재 유치 시에는 인건비·연구비 등도 매칭 방식으로 연간 20억원 규모를 지원한다.
개발된 모델은 오픈소스 형태로 국내 AI 생태계에 확산할 방침이다. 국민 AI 접근성과 산업 전반의 AI 전환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필요시 정부 재정사업과도 연계한다.
또 AI 안전연구소와 협력해 모델 안전성을 검증하고 'K-AI 모델', 'K-AI 기업' 등의 명칭 사용을 허용해 글로벌 공신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AI 정예팀들이 도전해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확산함으로써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모두의 AI'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과기정통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공공분야에 AI 서비스 도입을 지원하는 사업에 참여할 기업도 공모한다고 밝혔다.
사업 과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AI 기반 국민소통·민원분석 체계 구축 △국세청의 국세 상담 지원 서비스 △산업통상자원부의 해외인증 공공특화 AI 에이전트 서비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 국민 맞춤형 민원 상담 서비스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