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기업 회생 신청 전부터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사전에 회생 절차를 준비해왔다는 구체적인 정황을 확보해 검찰에 이첩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금감원에서 진행된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당국은 회생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와 MBK 주요 경영진 등의 부정거래 혐의 조사 건을 지난 21일 검찰에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넘겼다.
이 원장은 홈플러스와 MBK의 무책임한 태도를 지적했다. 그는 "MBK·홈플러스가 회생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들을 보면 채무자와 대주주, 채권단간 주객이 전도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며 정작 자기 책임을 회피한다는 그간의 우려가 현실화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MBK·홈플러스가) 납품업체에 대한 상거래 채권을 정상적으로 변제하겠다고 수차례 발표한 것과 달리 변제가 지연돼 납품업체의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며 "3월부터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임대료의 감액을 임대인 측에 요구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런 상황이 지지부진하게 5, 6월까지 이어진다면 향후 법원 회생 계획안 합의 과정에서 오히려 채권단 등이 정상화 지연에 대해 더 비난을 받고 양보를 강요받는 역설적 상황까지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MBK파트너스가 금융당국에 금융기관 협조를 요청했다는 내용도 공개됐다.
그는 "MBK 측에서는 거래업체 유지 필요성을 강조고 채권자인 금융기관에 협조를 구해달라는 식의 요청까지 하는 상황"이라며 "금융회사들이 자체적인 판단을 내린 결정에 대해서는 당국이 영향을 미칠 의도 및 수단이 없다는 점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그런 협조 요청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이 원장은 "금융당국은 최소 다음달 말까지는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 이어지는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는 한편, MBK 등에 대한 검사와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 등을 지속적으로 규명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에 두차례에 걸쳐 정정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서는 "회사가 정정 신고서를 다시 제출할 경우 신속하고 면밀하게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20일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추진을 위해 증권 신고서를 제출했다. 이에 금감원은 두차례에 걸쳐 정정을 요구했다.
그는 "1차 정정에서는 유상증자의 당위성, 계열사 지분 거래와의 연관성, 자금 사용 목적 구체성 등에 관해 정정을 요구했고, 2차에서는 증자 규모 축소 및 제3자 배정 추진 등 증자 구조 변경이 주주 및 회사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하고 자금 사용 계획의 구체성을 설명하도록 정정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정정 신고서가 제출되면 요구 사항의 반영 여부를 중심으로 점검할 예정이며, 투자 판단 주요 사항 등 기재 사항에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일정대로 자금 조달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