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전경. ⓒ 광주시교육청
이에 시민단체는 시민단체는 정책 중단과 정보공개를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교육부는 2025년부터 전국 초·중·고에 AIDT를 전면 도입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 '교육디지털 원패스' 가입이 필수지만, 4월 18일 기준 전국 평균 가입률은 75%에 그쳤다.
광주는 6521명 중 5184명이 가입해 79.5%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1337명의 학생이 미가입 상태다.
광주시교육청은 AIDT 구독에 56억 9000여만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학교급별로 초등학교 24억 6000만 원, 중학교 16억 7000만 원, 고등학교 15억 6000만 원을 배정했다. 그러나 일부 학교는 실질적 활용 없이 시스템만 갖춰 '장식용 시스템'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더욱이 광주시교육청은 AIDT 사업 관련 기본 정보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 선정된 학교명과 학교별 가입률이 비공개 상태로, 정책의 투명성과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시민들은 "세금 사용처를 알 수 없다"며 행정의 무책임을 지적했다.
교육부는 가입률 제고를 위해 교사의 '대리 가입'을 허용했지만, 이는 근본적 해결책이 아닌 수치 부풀리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업무 부담은 일선 교사들에게 전가됐고, 교사들은 교육 활동보다 행정 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다.
개학 한 달이 지나도 일부 학부모와 학생은 여전히 원패스 가입을 주저하고 있다. 이는 AIDT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신뢰를 잃었음을 보여준다. 현장에서는 콘텐츠 부족, 시스템 오류, 실사용률 저조, 관련 연수 미비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교육부는 졸속적인 AIDT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 광주시교육청은 정책 추진 현황과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라. 교육은 실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요구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