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미 '2+2 통상협의'를 하루 앞두고 협상 전략을 점검했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상목 부총리와 안 장관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모처에서 협상 대표단과 사전 실무협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오후 2시께 시작돼 1시간 20분가량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이날 회의에서 '한미 2+2 통상 협의'의 목표를 재확인하고, 미국 측 반응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모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과의 이른바 2+2 통상 협의를 하루 앞둔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입국하고 있다. © 연합뉴스
안 장관은 23일(현지시각)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관세 협상 목표를 묻는 말에 "상호 관세는 우리가 (계속) 유예받는 (방향으로 협상할) 계획을 갖고 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지금 25% 품목 관세가 부과된 자동차의 경우에는 대미 교역에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가급적이면 신속하게 이 문제는 저희가 풀 수 있도록 협의를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 가지 산업 협력 플랜을 협의, 향후 양국의 원만한 경제 산업 관계를 위해 이런 관세 문제가 양국 간에 불거지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할 계획"이라며 "오로지 국익과 우리 산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회의 내용을 기반으로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24일 오전 8시(미국 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미국 재무부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통상 협의를 할 계획이다. 한국 시간으로는 24일 밤 9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