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광복절 연휴 쇼핑몰에서 여유를 만끽하는 사람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전국 35만2866개 프랜차이즈 가맹점 중 16만9천개의 가맹점이 공휴일·명절에도 1년 내내 영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의점 업종은 사실상 모든 점포가 정기 휴무 없이 영업을 지속 중이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15개 프랜차이즈 업종 가맹점 중 정기 휴무일이 없는 곳은 16만9364개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편의점이 정기 휴무가 가장 낮았다. 전체 5만4828개 점포 중 5만4392개(99.2%)가 휴무 없이 운영됐다. 24시간 운영이라는 업종 특성상 정기적인 휴무를 설정하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커피·기타 비알코올 음료점업이 그 뒤를 이었다. 전체 3만2241개 중 81.4%인 2만6234개가 휴무일에도 운영하고 있었다. 제과점업의 정기 휴무일 '없음' 비율은 78.3%로 나타났다. 이어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59.5%)이나 생맥주·기타주점업(56.8%)에서도 정기 휴무일이 없는 가맹점이 절반 이상에 달했다.
반면 자동차 전문 수리업(2.8%)이나 의약품·의료용품 소매업(12.1%)은 정기 휴무일이 없는 가맹점이 적었다.
가맹점주가 쉬지 못하는 이유는 '수익 확보를 위한 노력' 때문으로 보인다. 이들은 임대료, 인건비 등을 감당하려면 가능한 많은 날을 영업한다. 명절·공휴일에는 외식 수요가 증가해 가맹점주들에게는 중요한 수익 창출 기회로 여겨진다.
또 편의성이 중시된 만큼, 소비자들은 명절·공휴일에도 문을 연 △식당 △카페 △편의점을 당연히 기대하는 경향이 있다. 가맹점주들도 이들을 놓치면 고객을 경쟁업체에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쉬지 않고 매장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루 평균 영업시간도 길다. 전체 가맹점 가운데 일일 평균 영업시간이 14시간 이상인 곳은 7만2972개(27%)였다. 특히 편의점은 24시간 운영하는 탓에 14시간 이상 영업비율 99.7%에 달한다. 이어 △제과점업 34.3% △가정용 세탁업 24.3% △커피·기타 비알코올 음료점업 19.1% △문구용품·회화용품 소매업(18.8%) 순으로 나타났다.
김종백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팀장은 "정기 휴무는 자율적으로 정하는 분위기"라며 "본사의 강제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자들이 언제든 열려 있는 매장을 기대하다 보니, 자율적인 협의를 통해 운영 방식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