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전광역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주최한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가 5일간의 여정을 마치고 지난 20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 축제는 '대한민국 과학축제',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등 기존의 세 개 과학축제를 통합 개최한 사상 최대 규모의 행사로, 총 56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며 역대 최고 성과를 기록했다.
엑스포과학공원과 대전컨벤션센터 일원에서 진행된 이번 축제는 △드론 스포츠 체험 △사이언스 어트랙션관 △로봇카페 등 첨단 과학체험 콘텐츠와 함께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으로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과학체험 부스에는 이른 아침부터 대기 행렬이 길게 늘어서는 등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이 밖에도 △대전시민천문대의 '별축제' △트랜스포머 로봇 포토존 △과학공감퀴즈쇼 △사이언스매직쇼 등 체험형 프로그램이 풍성하게 마련돼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으며, 대전지역 기업 및 연구기관의 홍보관 운영을 통해 지역 과학기술 역량 홍보에도 기여했다.
특히,18~19일 양일간 열린 '제10회 세계과학문화포럼'에는 5개국 주한대사관과 2400여 명의 관계자가 참여해, 국내 과학기술 축제의 국제적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됐다. 또한, 대전문화재단이 선보인 '문학정원 with 사이언스'는 과학과 문화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다만, 기상 악화로 인해 기대를 모았던 야간 열기구 체험은 일부 일정이 취소되어 아쉬움을 남겼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과학과 문화 인프라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성격의 3개 축제가 성공적으로 통합되며, 대전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과학수도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기존 10월에서 4월로 개최 시기를 앞당겨 통합행사와 함께 진행됐으며, 올해로 29회를 맞은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지난해 '과학기술대전'과의 통합에 이어 이번에는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까지 아우르며 더욱 확장된 축제로 거듭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