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 18일 훈련 중이던 공군 전투기가 기관총과 실탄을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해 해당 조종사에 대해 조사중이다.
공군이 21일 조종사 진술 등을 조사한 결과, 이날 발생한 KA-1 공중통제공격기의 기관총·연료탱크 낙하사고는 조종사가 히터 풍량을 조절하다가 버튼을 잘못 눌러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공군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비행 안전과 신뢰 회복을 위한 100일의 약속'이라는 프로젝트를 오는 22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연합뉴스
공군에 따르면 당시 야간 모의사셕 훈련 중이던 조종사들인 바이저(전투기 헬멧의 고글) 위애 야간투시경을 쓰고 있었는데 후방석 조종사가 히터 바람이 바이저 사이로 들어와 시야에 불편을 느껴 풍량을 조절하려다 송풍구 바로 위에 위치한 비상투하 버튼을 잘못 눌러 기관총과 연료탱크가 낙하했다고 한다.
비상투하 버튼은 항공기에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안전한 착륙을 위해 연료탱크와 무장 등 외부장착물을 모두 지상으로 떨어뜨리는 버튼이다.
또 비상투하 버틴은 약 3.5㎝ 높이의 원통형 프레임, 가드가 버튼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돼 있고, 그 원통형 프레임 입구로부터 비상투하 버튼은 약 1.5㎝ 안으로 들어가 있는 형태다.
때문에 비상투하 버튼을 누르기 위해서는 가드가 먼저 있고, 그 안에 투하 버튼이 들어가 있는 형태였는데 송풍구 바로 위에 투하 버튼이 있고, 송풍구는 지름이 약 3.3㎝ 정도, 비상투하 버튼은 약 3.5㎝ 정도 모양과 크기가 유사한 형태로 위치도 비슷한 위치에 있다 보니 조종사가 임무에 집중하면서 히터 송풍구와 비상투하 버튼을 오인해서 작동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공군 서울공보팀장은 국방부 브리핑에서 "유실된 탄과 연료탱크는 아직 탐색·수거 작업을 하고 있고, 탄은 총 500발 중 495발을 수거해 현재 5발이 남아 있는 상태"라며 "해당 조종사의 문책 수준에 대해서는 안전 분야 처분심의위원회에 사고 조사 이후 회부해 심의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고 대책과 관련해 "일반 기본적으로 오조작 예방 대책을 검토해 적용할 예정이고, 공군에서 지난 오폭 사고 이어 연이은 사고에 대해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3월 오폭 사고 이후 인력, 조직, 비행 절차 등 비행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하고, 또 새롭게 재창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비행운영 혁신 T/F를 운영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를 계기로 '비행 안전과 신뢰 회복을 위한 100일의 약속'이라는 프로젝트도 내일부터 시행하려고 계획하고 있고, 오늘 9시부터 9시30분까지 공군 참모총장 주관으로 비행부대 지휘관 회의를 화상으로 실시해 사고와 관련된 안전, 부대 관리 부분들에 대해 더 강조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오조작 사고를 낸 조종사는 후방석 조종사로 총 870여 시간의 비행 시간을 갖고 있으며, KN-1의 조종도 약 700여 시간 비행한 베테랑 조종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