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광주상의, 국가 AI데이터센터 운영예산 전액 반영 촉구

AI기술 주권 위협, 추경안 축소 반영에 강한 유감…전국 인프라로서 정당한 예산 요구

김성태 기자 | kst@newsprime.co.kr | 2025.04.21 14:25:07

광주상공최의소 전경. ⓒ 광주상공회의소

[프라임경제] 광주상공회의소는 AI산업 기반인 국가 AI데이터센터의 운영예산이 추경안에 반영되지 않은 데 강한 유감을 표하고 전액 반영을 촉구했다.

광주상공회의소는 21일 성명을 내고, 국가 AI데이터센터 운영예산 670억 원이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점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전액 반영을 강력히 요구했다.

광주에 위치한 국가 AI데이터센터는 전국 900여 개 기업이 약 2000 건의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국가 단위의 공공 인프라다. GPU 연산장비, 대용량 저장소, 보안 인증, AI 테스트베드 등을 통합 제공하며 기업·대학·연구기관이 고비용 장비 없이 AI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정부는 670억 원 규모의 운영예산 중 25억 원만 추경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광주상의는 "이대로 확정되면 사업 추진에 심각한 차질이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이 사업을 지역사업으로 분류한 것은 전국적 활용성과 전략적 가치를 간과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가 AI데이터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국가 전략사업으로, 중소·스타트업 기업들이 GPU 슈퍼컴퓨팅, 클라우드 플랫폼, AI 중개 서비스를 통해 초거대 AI모델 개발과 실증, 기술 검증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기반이다.

AI 반도체, 초거대 언어모델, 자율주행 등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의 고성능 연산환경 접근성은 절실한 상황이다. 광주상의는 "공공 AI 인프라 확충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민간 클라우드 대비 비용 절감 효과도 높고 실수요도 입증됐다"고 강조했다.

또한 AI 기술주권 확보는 단기 지원으로는 어렵고, 중장기 기반 시설 구축과 안정적 운영이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다수 기업이 GPU 연산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 AI 공동개발 등에서 AI데이터센터의 실질적 혜택을 누리고 있다.

광주상의는 "이 사업은 특정 지역을 위한 것이 아니라, 디지털 전환과 미래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국가 전략자산"이라며 "정부의 선제적이고 책임 있는 결정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상의는  △추경에 670억 원 전액 반영 △향후 본예산 및 중장기 재정계획에 안정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국가사업으로서의 정당한 예산 배분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 등 두 가지를 정부에 건의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