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전라남도가 집중호우와 태풍 등 기상이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재해위험지역 정비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올해 총 1930억원을 투입해 128개 지구의 재해위험을 해소할 계획이며, 이는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번 정비사업은 크게 네 가지 분야로 나뉘어 진행된다.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정비 47지구(602억원) △풍수해생활권 정비 16지구(843억원) △급경사지 정비 40지구(344억원) △재해위험저수지 정비 25지구(141억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올해 신규 사업으로는 54개 지구가 포함되어 자연재해 취약지역 개선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함평 엄다천, 함평천, 영암 개신지구 등 인명피해 우려가 큰 지역은 전남도에서 직접 사업을 발주하여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며, 상시 지도·점검 활동도 병행된다. 또한, 풍수해생활권 정비사업은 신규로 4지구가 확대되어 산사태, 하천재해, 지하공간 침수 등 인명피해 우려가 큰 분야에 대한 피해 저감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예정이다.
전남도는 정비사업의 공사 품질 확보와 예산 조기 집행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월별 정기점검을 실시하고, 현장 중심의 실시간 관리체계를 운영하여 사업 지연과 예산 이월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강영구 전남도 도민안전실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와 같은 예상치 못한 기상현상이 반복되고 있어 선제적 재해예방이 중요하다"며,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시군과 긴밀하게 협조하여 재해위험지역을 신속히 정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