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청남도가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도정 핵심 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충남도는 국가 정책 방향 제안 13건과 지역 8대 목표 35개 정책 61개 세부 사업을 '충청남도와 대한민국 발전 과제'로 발굴, 주요 정당에 공약 반영을 공식 요청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수도권 과밀화, 지역 불균형, 산업·에너지 전환, 기후위기, 저출생 등 국가적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전략으로 구성됐다.
충남도가 제안한 국가정책 방향은 △농업인 기준 재조정 △스마트팜 전환 △AI 빌딩형 축산단지 도입 등 농업시스템 개혁을 비롯해, △행정 체제 개편 △지역 차등 세제 도입 △지방 사립대 구조 개선 등 지방자치 강화, △석탄화력 폐지지역 특별법 및 기금 조성 △전기요금 차등제 시행 △탄소 없는 발전 입찰제 등 에너지 전환 전략, △출산가정 주4일제 △현금성 양육지원 통합 △전향적 이민정책 등 실질적 저출생 대책이 포함됐다.
충남 지역과제 8대 목표는 △공공기관 2차 이전으로 충남혁신도시 완성 △한국판 실리콘밸리 베이밸리 메가시티 조성 △서해안 에너지산업벨트 조성 △서해·남부권 친환경 미래 성장동력 구축 △국방 특화 클러스터 조성 △백제고도 명소화 △광역교통망 확충 △행정 불합리 해소 및 집적·효율화 등이다.
이를 실현할 정책 과제로는 △공공기관 추가 이전 및 인프라 구축 △아산항 친수공간 조성 △AI컴퓨팅센터 설립 △서산공항 조기 건설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 △서해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등 총 35개가 제시됐다.
세부 사업에는 △충남 KBS 복합방송시설 건립 △내포캠퍼스 및 과학영재학교 설립 △AI 컴퓨팅센터 및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 △서산공항·항공MRO산업 육성 △국립의대 신설·경찰병원 유치 △수소혼소·풍력발전단지·석유화학 국가산단 전환 △가로림만 해양생태공원 △금강하구 해수유통 및 생태복원 △충청 내륙철도·보령-대전 고속도로·제2서해대교 건설 △이민관리청 설립 등 광범위한 지역개발·인프라 사업이 담겼다.
충남도는 이번 공약 과제들이 차기 대통령의 국정과제 체계 속에서 직접 관리될 수 있도록 제안할 예정이며, 김태흠 지사가 제기한 '지역공약 공모 제한' 개선안도 포함해 제도적 보완도 추진할 방침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이번 과제들은 충남의 미래 50년, 100년을 책임질 필수 사업"이라며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 및 국가계획 반영을 위해 철저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