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침체된 산촌 지역의 활력 회복을 위해 '2025년 산촌활력특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사업은 산촌 지역의 자연환경, 임산물, 산림복지시설 등 고유 자원을 활용해 지역 맞춤형 사업모델을 발굴·지원하는 방식으로, 지난해 10개 지역에 이어 올해는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전문 컨설팅과 현장 밀착 지원이 이뤄진다.
올해 선정된 지역은 △경기 가평 △경기 여주 △충북 괴산 △전북 진안 △전남 장성 △경북 칠곡(2곳) △경남 진주 등 총 8곳이다.
전문 컨설팅 기업은 각 지역의 소득창출 모델을 발굴·보완하고 실행 체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맡으며, 산촌마을은 오는 11월까지 사업모델을 기획·운영하게 된다. 이후 연말에는 우수 성과와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 산촌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자리가 마련될 예정이다.
현재, 전국 468개 산촌지역 중 5곳(1.1%)은 '인구소멸 주의' 단계, 46곳(9.8%)은 '소멸위험 진입' 단계, 417곳(89.1%)은 '소멸고위험' 단계로, 사실상 모든 산촌이 인구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최서희 산림청 산림휴양치유과장은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 특화사업을 통해 산촌의 고유 매력을 살리고, 지방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지역과 주민이 함께 살아나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