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김성태 행장 퇴진하라" 기업은행 노조, 5월 총파업 예고

경영진 쇄신안 반발에 '레드카드' 집회…노조 "임단협·비위책임 외면, 전면 투쟁"

박대연 기자 | pdy@newsprime.co.kr | 2025.04.16 16:13:19

16일 서울 을지로 IBK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기업은행 노조가 '임단투 필승 및 조직 사수 전조합원 결의대회'를 열고 김성태 행장을 비롯한 경영진의 사퇴를 요구했다. ⓒ 기업은행 노동조합


[프라임경제] IBK기업은행(024110) 노조가 경영진의 부당대출 사태 책임 회피와 임금 및 단체협약(이하 임단협) 결렬을 규탄하며 다시 거리로 나섰다. 노조는 경영진이 현장 책임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며 내달 지역별 순환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기업은행지부(이하 기업은행 노조)는 16일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조합원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단협 합의 촉구 및 부당대출사태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김성태 기업은행장과 경영진의 총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노조는 퇴장을 의미하는 '레드카드'를 들고 집회에 나섰다. 류장희 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경영진의 욕심이 낳은 부당대출 사태로 조합원들이 범죄집단으로 낙인찍히고 있다"며 "이 사태의 진짜 책임자는 경영진이며, 그들은 쇄신의 대상이지 주체가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앞서 김성태 행장은 지난달 26일 부당대출 재발 방지를 위해 △임직원 친인척 DB 구축 △대출 시 확인서 작성 △외부 전문가 중심 감사자문단 운영 등을 담은 쇄신안을 발표한 바 있다. 다만 현장에서는 해당 방안이 '말단 직원에게 책임을 떠넘기기 위한 미봉책'이라며 반발이 거세다.

김영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대출업무는 정해진 규정에 따라 움직이는 구조인데, 본질은 감정평가 부풀리기와 점수 올리기에 열 올리던 조직문화에 있다"며 "그런 시스템을 방조해온 경영진이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은 조직 윤리를 파괴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16일 서울 을지로 IBK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기업은행 노조가 '임단투 필승 및 조직 사수 전조합원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 기업은행 노동조합


기업은행은 현재까지도 지난해 12월부터 이어진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시간외수당 체불과 특별성과급 미지급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노조는 내달 19일부터 23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지역별 순환 총파업'을 단행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12월 창립 이래 첫 단독 총파업을 벌인 바 있으며, 이번이 두 번째다.

이날 현장에서는 노조가 제시한 10대 혁신 과제도 공개됐다. 경영진 총사퇴를 비롯해 △성과지표(KPI) 및 가산점 폐지 △부당지시자 엄중 처벌 △취급자 면책 제도 도입 △낙하산 인사 근절 △여신심사 독립 부서화 △골프 접대 근절 등 내부 구조 전반에 대한 개혁안이 포함됐다.

또한 노조는 지난 14일부터 김성태 행장을 포함한 전무, 부행장 등 경영진의 비위 행위 제보를 공식 접수받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제보 항목에는 횡령, 배임, 성비위, 위법 강요, 직장 내 괴롭힘 등이 포함됐다. 신고자에겐 최대 1000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이날 집회에는 정태호,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신장식,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 등 국회의원들이 직접 참석해 정치권도 힘을 보탰다. 

박 의원은 "지난 3월 말까지 임단협을 마무리하라고 했지만 아무런 진척이 없다"며 "금융사고를 막겠다며 친인척 DB를 만든다는 것은 번지수를 잘못 짚은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신 의원은 "김성태 행장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책임은 직원이 지고, 보상은 시중은행에 차별받는 이 상황 바꿔야 한다"며 "제도로 풀어야 할 것은 제도로 풀고, 싸워서 풀어야 할 것은 싸워서 이겨 내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기업은행은 전문가 위주로 구성된 쇄신위원회를 구성하고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문제를 점검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업무 프로세스, 내부통제 부문에서 오래된 관행이나 프로세스를 전반적으로 점검하여 개선해 나가고, 조직문화 부문에서도 끼리끼리 문화 등 바람직하지 않은 부분을 바꿔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발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쇄신 추진과정을 경영진부터 다 같이 동참할 필요가 있기에 직원 교육 등 내부 수용성을 높이는 활동을 지속추진해 공감대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