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남 태안군이 태안화력발전소 폐지에 따른 지역 위기 극복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본격 나선다.

16일 군청 브리핑실에서 정례브리핑 중인 조상호 미래에너지과장. ⓒ 태안군
군은 16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 개발과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 해상풍력 운영·관리 부두 조성 등 새로운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계획을 밝혔다.
군은 총 사업비 11조6000억원을 투입해 태안 앞바다에 1.4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3곳을 조성할 계획이다. 2021년 '태안 풍력'을 시작으로 '가의 해상풍력(2023)', '서해 해상풍력(2024)'이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으며, 현재는 환경부와 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인허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앞서 2020년 수립한 '에너지 중장기 계획'에 해상풍력 사업을 반영하고, 2021년 산업부의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지원 사업'에 선정돼 43억5000만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이후 '제1기 해상풍력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고 주민 설명회, 선진지 견학 등을 통해 수용성 확보에도 주력해왔다.
2023년에는 '제2기 해상풍력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고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을 추진 중이다. 집적화단지로 지정되면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추가(최대 0.1)를 통해 수산업 지원 및 주민복지 사업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
군은 이달 중 '제6차 민·관협의회'를 열고 산업통상자원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이며, 지역 주민 대상 설명회를 지속 개최해 주민 수용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군은 해상풍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해상풍력 운영·관리 부두'를 오는 2029년까지 원북면 태안항에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해수부에 제4차 항만 기본(수정) 계획 반영을 요청한 데 이어, 관련 기관과의 협의도 계속 이어간다.
군은 해상풍력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읍면 이장단과 어업인 등을 대상으로 총 15차례의 설명회를 개최했으며, 앞으로도 주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조상호 미래에너지과장은 "당초 5개 단지를 추진했지만, 풍황계측기가 미설치된 2개 단지는 올해 3월 공포된 특별법 적용을 받아 추진할 계획"이라며 "태안화력의 단계적 폐지로 지역이 최대 위기를 맞은 만큼, 친환경 그린 에너지 도시로 전환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