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남 내포신도시에 위치한 KAIST 모빌리티연구소가 대한민국 첨단 모빌리티 연구의 중심 거점으로 본격적인 도약에 나서고 있다.

지난 14일 AI 경량화 및 최적화 분야 유망 스타트업 '노타'가 KAIST 모빌리티연구소 내 AI 컴퓨팅 센터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 충남도
최근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 등 AI·모빌리티·로봇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충청남도(도지사 김태흠)는 온디바이스 AI,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미래기술 기업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충청남도는 지난 14일 AI 경량화 및 최적화 분야 유망 스타트업 '노타'가 KAIST 모빌리티연구소 내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커팅식에는 안호 충청남도 산업경제실장, 황선돈 홍성군 혁신전략담당관, 장기태 KAIST 모빌리티연구소장, 채명수 노타 CEO, 김태호 CTO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산업 생태계 확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노타는 국토교통부의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술 부문에서 '최상' 등급을 받은 기술기업으로, 이번 컴퓨팅센터를 통해 대규모 AI 모델을 소형 하드웨어에 구동 가능한 'AI 경량화 기술'을 집중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AI 학습용 GPU 서버를 활용해 자사 연구는 물론, 입주기업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서버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창업·벤처기업의 R&D와 사업화를 지원한다.
충청남도와 KAIST는 앞으로 입주기업, 도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 함께 다음과 같은 첨단 모빌리티 분야 핵심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태양광 발전시설과 연계한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실증 △친환경 AI 데이터센터 운영 모델 도입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전력망 안정·효율화 기술 △자율주행 이동로봇(AMR)을 활용한 중소기업형 자율 물류배송 실증 및 협업 시스템 기술 △안전성 강화를 위한 액침형 냉각기술 등이다.
입주기업들은 AI, 반도체, 무선충전, 배터리, 자율주행, 드론, 농기계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며, 이종 산업 간 융합과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충청남도는 KAIST 모빌리티연구소를 중심으로 산·학·연 R&D 생태계를 구축하며, 전국 최고 수준의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
한편, KAIST 모빌리티연구소는 지난해 11월 개소, 김태흠 지사, 이광형 KAIST 총장, 이용록 홍성군수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 6개월 만에 출범했으며, 개소 이후 5개월 만에 17개 기업이 입주, 오는 5월1일까지 3개 기업이 추가 입주해 총 20개 기업이 연구소를 중심으로 활동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