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뽑기로 한 것과 관련해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민주당은 앞서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논의를 통해 이러한 안을 마련했고, 14일 오후까지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진행해 규칙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비명계 주자들을 중심으로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비명계 후보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완전국민경선이) 우리 민주당의 원칙이자 전통이다. 이 규칙으로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이 당선됐고, 이재명 전 대표도 지난 대선 경선에서 이 룰로 당선됐다"며 "이러한 원칙과 전통이 지금 파괴되고 있는 것이다. 절차적으로도 그 과정에서 후보자 간 협의가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9일 인천공항 2터미널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이어 "국민의 자발적 참여를 보장하는 게 더 큰 선거를 이기는 지름길이다"라며 "오늘 경선 규정에 대한 투표가 오후에 끝날 텐데, 그때까지는 지켜보겠다. 투표 진행 중에 이런저런 얘기를 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다른 비명계 주자인 김두관 전 의원도 이날 공개 일정을 모두 비운 채 경선 참여 거부를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은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너무 위험하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비명계 주자 중 한 명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상대적으로 차분한 모습이다. 그는 이날 MBC 라디오에 나와 "경선룰 토론은 일종의 샅바 싸움이다. 샅바 싸움을 길게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다"라며 "그 과정에서 가능하면 후보들과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역선택 우려가 많이 있긴 하지만, 그런 우려가 없는 당원들의 참여 폭은 확대하는 것이 좋지 않나"라며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당원만이 아니라, 최근 6개월간 한 번이라도 당비를 낸 당원은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