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J중공업이 시공 중인 북항 내 '오페라하우스' 현장 전경. ⓒ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부산에 본사를 둔 HJ중공업이 사업장 주소지 논쟁에 휩싸였다. HJ는 조선과 건설이 주력이며 르노코리아와 함께 부산에서 몇 안 되는 대기업군으로 분류된다. 부산시를 비롯해 대부분 지방 광역단체에서는 대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또 수도권으로 우량기업 유출을 막기 위해 지역 할당제 등 각종 지원과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부산 지역 한 시민단체가 지역 경제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HJ중공업 건설 부문 소재지를 문제 삼고 나섰다.
해당 시민단체에 따르면 "(HJ는) 부산기업이 아닌데도 향토기업으로 공사 특혜를 누리고 있다”며 "한진중공업은 2021년 9월 동부건설 컨소시엄에 인수 합병되면서 이듬해 2022년 1월 회사명을 바꿨다. 조선 부문 본사는 부산시 영도구에 있지만, 건설 부문 본사의 경우 서울시 용산구로 옮겼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HJ중공업 회사 홈페이지에 '조선 부문'과 '건설 부문'으로 분류돼 있고 대표이사가 각각 다르다는 점을 들어 사실상 법인은 이원화된 상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HJ 측은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한다. 이 회사 관계자는 ”건설 부문 본사는 사업자등록증 소재지가 부산이고 법인세도 당연히 부산에서 낸다"라며 항변하고, ”건설업은 특성상 전국 각 지역에 사업소를 두고 있어서 생긴 오해다"라고 강조했다.
오는 4월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사업 공사입찰을 앞두고 HJ중공업, 계룡건설, 동원개발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응찰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사업은 지역의무공동도급 조건에 따라 지역업체가 49% 이상 참여해야 한다. 총사업비는 2361억원이다.
시가 밝힌 공사입찰의향서에는 '주된 영업소가 공사현장(물품용역은 납품소재지)을 관할하는 해당 시·도의 관할구역 안에 있어야 한다'로 명시돼 있다. 이는 시에서 관급 공사 일감을 지역기업에 주기 위한 나름의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시민단체의 주장대로 HJ중공업 건설 부문 사업장 주소지가 만일 서울일 경우 HJ컨소시움에 지역 참여율은 동원개발 20%에 그친다. 따라서 불필요한 논쟁을 해소하기 위해선 HJ중공업 측에 더욱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한편, HJ중공업은 북항 랜드마크 '오페라하우스' 시공사이다. 당초에 기대와는 달리 설계 변경 등으로 공사가 지연되면서 2022년 완공이 4년이나 늦춰졌다. 시와 트위스트·파사드 공법을 놓고 마찰을 빚었고, 그사이에 공사비는 1000억원 가량 증액됐다고 전해진다.
업계 일각에서는 외부에 장시간 동안 노출된 공사 철근 등 건설자재 부식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