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지역이 또다시 음식물쓰레기 악취 논란에 횝싸일 것으로 보인다.

C업체와 오천 부영아파트와는 직선으로 1km 거리에 있다. ⓒ 최병수 기자
오천읍 부영아파트가 인접한 남구 장흥동 1835번지 대안상사 자리에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하는 생산설비가 설치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사업자 측은 '바이오 중류원료 및 사료원료 생산업'으로 철강공단에 입주를 신청했지만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할 경우 주민들의 악취 민원 발생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곳에서 오천읍 부영아파트까지는 직선거리 1km에 불과해 과거 포항시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했던 영산만산업의 악취가 다시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SRF)과 호동 매립장 악취 민원이 다소 수그러진 상황에 다시 음식물쓰레기 처리 설비는 오천읍 주민들의 악취 민원을 다시 불러 일으킬 것으로 벌써부터 논란이 되고 있다.
포항철강관리공단에 따르면 남구 장흥동 1835번지에는 '바이오 중류원료 및 사료원료 생산' 공장 입주가 신청됐다.
남구 장흥동 1835번지에 입주할 수 있는 업종이 '비금속 광물 재생산업'으로 최근 C사는 '바이오 중류원료 및 사료원료 생산업'으로 입주를 신청했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는 "이곳이 '바이오 중류원료 및 사료원료 생산' 설비가 들어설 규모의 부지도 아니며, 만약 들어선다 해도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한 생산설비의 경우 악취는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기자가 찾아간 현장에는 음식물쓰레기 적환장 설비와 유사한 설비가 설치돼 있었지만 '바이오 중류원료 및 사료원료 생산'설비는 아직 설치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음식물 쓰레기 적환장이 설치될 경우에도 오가는 음식물쓰레기 운반차량들로 인해 오천읍 주민들에게 민감한 악취 관련 민원이 다시 들끓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오천읍 주민 A씨는 "항상 악취에 시달리는 오천읍 주민들을 위해 혐오시설을 이전하기는 커녕 또 다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이 들어온다는 것은 악취에 죽으라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이어 "영산만산업이 없어진 지 얼마나 됐다고 또 이 작당이냐"며 "주민들의 건강한 생존권을 위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의 입주를 결사 반대할 것"이라고 강하게 말했다.
이에 대해 포항철강관리공단 관계자는 "'바이오 중류원료 및 사료원료 생산업'이 입주할 수 있는 업종인지 판단하기에 제출된 자료가 미흡해 추가적으로 세부적인 자료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논란이 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적환장은 별도의 영업행위로 입지할 수 없다"고 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한 사료원료 생산의 경우에도 악취민원이 발생할 것이 확실하기에 입주허가에는 포항시 기후대기과 등 환경국의 검증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진엽 도의원은 "그동안 악취로 피해를 보았던 지역에 또다시 이러한 시설로 지역 주민에게 피해가 발생하면 안된다"며 "이 사안에 대해 철저히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C사는 경기지역 업체로 남구 장흥동 1835번지 대안상사 자리에 '바이오 중류원료 및 사료원료 생산업' 운영을 위해 포항철강관리공단의 입주허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C사는 포항철강관리공단의 입주허가를 득한 후 포항시의 사업 인허가를 추진하게 되는데 악취민원 발생이 예상되는 '바이오 중류원료 및 사료원료 생산업'을 포항시에서 허가할 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오천읍 주민들에게는 악취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혐오대상이 될 수 있다.
한편 포항시의 연간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지난해 기준 공동주택 2만4000톤, 단독주택 및 상가 1만8000톤, 다량배출업소 1만5000톤 등 대략 5만7000톤에 달한다.
포항시와 음식물쓰레기 처리계약을 맺은 업체가 현재 운영중인 장흥동 322-4의 적환장에서 음식물쓰레기 전량을 관외로 운반, 처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