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부산시 '2025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 발표…19만2000개 일자리 창출 목표

총 2조1000억원 투입해 고용률 67.1% 달성 추진…청년·여성·중장년 등 맞춤형 대책 포함

정기환 기자 | jungkiwhan@naver.com | 2025.04.01 15:55:39

부산시 일자리정책 종합계획 목표 및 예산안. ⓒ 부산시

[프라임경제] 부산시가 2025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총 2조1000억원을 투입해 역대 최대 규모인 19만2000개의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시에 따르면 시는 15~64세 고용률 67.1% 달성을 목표로, 청년·여성·중장년 등 취약계층을 포괄하는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강화하며 지역 고용시장 안정화에 전력을 기울인다.

이번 계획은 민선8기 일자리정책 기조를 바탕으로 최근 고용환경 변화를 반영해 마련됐다. 시는 청년고용률 46.3%, 여성고용률 59.0%, 상용근로자 수 94만 명 달성을 세부 목표로 설정하고, 4대 전략과 16개 실천과제를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한다.

우선 지역 고용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관광·마이스 등 지역 특화 일자리를 확대하고, 중장년층 정규직 전환을 위한 '4050 채용 촉진 사업', 폐업 소상공인을 위한 고용 전환 패키지사업 등을 새롭게 추진한다. 고용서비스 기능도 고도화해 일자리 수요-공급 미스매치를 해소한다.

혁신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디지털 인재 양성과 산업 기반 조성도 병행한다. 반도체·미래차·신소재 등 미래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기계부품·조선·신발 등 주력산업의 고도화를 함께 도모해, 부산형 선도기업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고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지난해보다 315억원 늘어난 8930억원 규모로 확대해 자금난 해소를 지원한다.

미래 일자리 기반 조성 전략으로는 첨단업종 중심의 투자유치와 함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통해 대학과 기업의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부산기술창업투자원을 중심으로 유망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금융기회발전특구, 한국산업은행 유치, 디지털금융산업 육성 등을 통해 금융 중심도시 기반을 확장한다.

특히 총 2조3천억원 규모의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를 조성해 고부가가치 산업구조 전환을 유도한다.

대상별 맞춤형 정책으로는 청년 구직단계별 '청년잡(JOB) 성장 프로젝트', 부산청년 기쁨카드·기쁨두배통장 확대 등을 포함한다. 여성과 장노년층, 장애인 대상 일자리도 늘리고, 지역 내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센터'를 5곳에서 10곳으로 확대해 친환경 일자리 확대도 병행한다.

시는 이번 계획을 통해 취약계층의 고용 안전망을 강화하고, 디지털·녹색 중심의 산업전환 흐름에 발맞춰 미래지향적 일자리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2025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은 부산의 고용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민생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을 견인하는 핵심 정책이 될 것이다"며 "청년과 여성, 중장년 등 다양한 계층에 실질적 일자리를 제공하고, 디지털·친환경 등 미래 산업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