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남도는 지천댐 건설을 두고 찬반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협의체 구성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반대대책위는 환경부와 수자원공사가 협의체에 참여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했으나, 두 기관은 협의체에 직접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히고, 주민 요청 시에만 참석하겠다고 했다.
또한, 충남도는 청양군과 부여군과 협력해 반대대책위의 협의체 참여를 촉구하고 있으며, 오는 18일까지 협의체 구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만약 반대측이 계속해서 참여를 거부할 경우, 협의체 참여를 원할 때 언제든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영명 환경산림국장은 지천댐 건설에 따른 취수구 설치와 관련된 문제를 설명하며, 환경부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없이 규제 없는 취수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천댐 건설이 청양, 부여 지역의 홍수 피해를 줄이고, 금강홍수통제소가 우기 대비 저류량을 조정해 치수 안전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충남은 만성적인 물 부족 지역으로, 2035년까지 하루 약 18만톤의 용수 부족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천댐 건설은 향후 극한 가뭄 상황에서 중요한 용수 공급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1000억원의 예산이 지원되며, 댐 협의체를 통해 주거, 산업, 농축산, 관광 분야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충남도는 작년부터 환경부 지역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자 했으나, 반대대책위가 회의 참석을 거부함에 따라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전하며, 이번 협의체에 참여해 의견을 개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