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7호선 주요 분양 단지가 '완판' 행진을 이어가며 수도권 청약 경쟁률을 견인하는 분위기다. 강남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인 동시에 역 주변을 따라 지역 대표 단지 개발도 이어지고 있어 분양 시장을 좌우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나아가 향후 수도권 북서(北西) 지역으로 연장도 이어져 수도권 교통 동맥 위상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13개 단지가 분양에 나서 △모집 4165가구 △접수 31만6579건 △1순위 평균 경쟁률 76.0대 1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경쟁률(18.8대 1)을 4배 가량 웃돈다.
7호선은 △서쪽에서는 인천·부천시가, △북쪽에서는 중랑·노원·의정부 일대에서 강남을 가기 위한 핵심 노선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수송인원(84만5000여명)이 2호선과 5호선에 이어 3위다.
7호선 양 끝으로 노선 연장도 진행되고 있다. 실제 △인천쪽은 석남역~청라국제도시역 △경기 북부에서는 도봉산~옥정 구간 연장 공사가 이뤄지고 있어 수도권 내 교통·부동산 시장에 적지 않은 변화가 기대되고 있다.
더군다나 최근 7호선 라인 인근에서 진행된 대규모 정비사업 청약 경쟁률도 심상치 않았다.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 527.3대 1 △메이플자이 442.3대 1 △래미안 원페를라 151.6대1 △디에이치 방배 90.2대 1을 기록했으며, 강남구에서 분양에 나선 청담 르엘도 667.2대 1이라는 치열한 경쟁률을 달성했다.
지난해 하반기 관심을 끈 △노원구 서울원 아이파크 14.9대 1 △중랑구 더샵 퍼스트월드 서울 9.3대 1도 시선을 사로 잡았다. 경기도에서는 광명뉴타운 내 공급이 이어졌으며 △광명자이힐스테이트SK뷰(3.8대 1) △광명 롯데캐슬 시그니처(3.4대 1)가 100% 계약을 마쳤다.
부동산 전문가는 "7호선은 강남과 가산디지털단지 등 핵심 업무지구를 관통하고, 특히 인천·경기도에서는 서울을 한 번에 갈 수 있는 편의를 갖춰 수요자 선호도가 매우 높은 노선"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착공에 돌입한 사업지 외에도 추가적으로 노선 연장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교통 핵심 축 위상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첨언했다.
당장 분양을 앞둔 곳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7호선 산곡역 150m 거리에 위치한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이 오는 4월 모습을 드러낸다. 전체 2475가구 규모로, 이중 일반분양 예정 물량은 전용면적 39~96㎡ 1248가구다. 시공은 효성중공업과 진흥기업이 책임진다.
관계자에 따르면, 인근 산곡역에서 가산디지털단지까지 30분대, 강남까지 1시간 이내 도달 가능하다. 산곡역에서 GTX-B(예정) 개통이 예정된 부평역(수도권1호선·인천1호선)까지도 약 10분이면 닿을 수 있다.
분양 관계자는 "7호선 초역세권 입지에 선보이는 단일 브랜드 대단지라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분양을 기다린 고객이 많고, 단지 내 대규모 상업시설도 조성되기에 입주민 편의를 더욱 높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이어 "여기에 초등학교를 품은 '초품아'인 동시에 주변 대규모 정비사업으로 1만5000여가구 신흥 주거타운으로 탈바꿈해 정주 여건은 꾸준히 개선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7호선 광명사거리역 역세권에서는 현대건설이 광명 11구역 재개발사업을 통해 총 4200여가구를 공급한다. 이중 600여가구를 연내 일반 분양 예정이다.
장승배기역 부근에서는 동작구 노량진 뉴타운으로 아파트 공급이 이어진다. 노량진2구역(SK에코플랜트 시공)과 6구역(GS건설·SK에코플랜트 컨소시엄), 4구역(현대건설)이 장승배기역과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