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더인벤션랩(대표 김진영)이 미국과 유럽의 기후테크 스타트업 투자 트렌드를 비교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더인벤션랩은 지난 1월 삼천리그룹(004690)과 협력해 '삼천리 S-Together'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테크 분야 123개사를 선발하고, 기업별 비즈니스 모델 및 기술을 분석한 '한국 기후테크 분석 및 전망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이번에 발간된 '미국-유럽 기후테크 분석 보고서'는 서울대학교 스타트업전략컨설팅학회 ACT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분석 범위를 글로벌(미국-유럽)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번 보고서는 미국과 유럽의 기후테크 전문 투자 벤처캐피털(VC)들의 최근 3년간 투자 실적을 조사하여 상위 기관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분석 결과, 미국에서는 Breakthrough Energy Ventures, Energy Impact Partners, Prelude Ventures, Congruent Ventures 등 4개 기관이 선정됐다. 유럽에서는 World Fund, Creandum, 2150, Lightrock, енера, Demeter Investment Managers, Generate Capital 등 7개 기관이 포함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에너지 생산 및 저장 분야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다. △클린테크(31%) △지오테크(14%) △에코테크(12%) 순으로 투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럽은 클린테크(23%)와 지오테크(23%)가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모빌리티테크(14%)가 그 뒤를 이었다.
김진영 대표는 "미국의 기후테크 스타트업들은 에너지 관리, 데이터 분석, 탄소 포집 등 다양한 기술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경향이 뚜렷하다"며 "유럽의 경우 프랑스, 독일, 영국을 중심으로 기후테크 스타트업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탄소국경세 등 정책적 지원과 규제에 힘입어 투자 포트폴리오가 기술 및 사용처 세분화 방식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보인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보고서가 국내 기후테크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 트렌드를 이해하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더인벤션랩은 앞으로도 기후테크 분야의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