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숏폼] "국정원에 친구 없는데" 윤석열, 한동훈 끌어들였다 역풍 왜?

탄핵심판서 선 넘은 '증인 흔들기' 홍장원·한동훈 즉각 반박에 머쓱

이수영 기자 | lsy@newsprime.co.kr | 2025.02.21 11:14:16



[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 측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증언 신빙성을 흔들기 위한 무리한 의혹 제기로 논란을 키우고 있다.

지난 20일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에서 윤 대통령 측 대리인 윤갑근 변호사는 홍 전 차장이 작성한 '체포 명단 메모'가 정치적 의도로 작성된 것 아니냐는 주장을 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메모를 받아 적은 홍 전 차장의 보좌관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친구라는 의혹도 제기했다. 그러나 한 전 대표는 이날 저녁 즉각 입장문을 내고 "국정원에 친구가 없다"고 선을 그었고 윤 대통령 측은 별다른 추가 근거를 대지 못했다.

윤 대통령 측 '증인 흔들기'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윤갑근 변호사는 홍 전 차장에게 "미친 짓이라고 생각해 적다 말았는데, 왜 이 메모를 다시 정서했느냐"며 작성 동기를 문제 삼기도 했다. 

나아가 "그 명단을 굳이 기억할 이유가 있느냐"며 메모 자체의 목적을 정치적으로 해석하려 했다. 

그러나 홍 전 차장은 "정보기관에서 들은 내용을 기록하는 것은 습관"이라며 의혹을 일축했다.

이날 눈길을 끈 것은 윤 대통령 측이 홍 전 차장의 메모 작성 과정에서 보좌관이 개입했다는 점을 들어 한 전 대표와의 연관성을 주장한 대목이었다.  

윤 변호사가 "(메모를 정서한) 보좌관이 현대고를 졸업한 한동훈 친구 아니냐"고 묻자, 홍 전 차장은 "현직 국정원 직원의 신원을 밝힐 수 없다"면서도 "부하직원의 친구까지 기억하지는 못한다"고 반박했다. 

한 전 대표가 "국정원에 친구가 없다"고 공식 입장까지 내면서 윤 대통령 측의 의혹 제기는 진실공방 그 이상의 효과를 얻는데 실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홍 전 차장이 이날 법정에 제출한 메모 원본에 따르면, 그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여인형 전 국군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 명단을 전달받고 이를 메모했다. 

이후 보좌관에게 정서를 지시해 보다 정리된 형태의 메모가 만들어졌고, 이튿날에는 복기를 통해 최종 정리된 3차 메모가 작성됐다.

이를 두고 윤 대통령 측이 제기한 '탄핵 공작' 의혹은 논리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히려 체포 명단을 기록한 것이 정치적 의도가 아니라 당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명단 자체도 변동 없이 유지됐다는 점에서 윤 대통령 측의 주장은 설득력을 얻기 어렵게 됐다.

한편 윤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 변론기일은 오는 25일로 지정됐다. 첫 변론준비기일이 시작된 작년 12월 27일 이후 60여일 만에 변론이 마무리되는 것으로 내달 중순쯤 선고가 나올 전망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첨부파일
첨부파일 shm_1740102161.txt / 463 바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