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최대 연 9% 금리’ 청년도약계좌, 5배 이상 신청 '급증'

예·적금 금리 하락에 정부 보조금 확대 효과까지 겹쳐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5.02.09 13:22:12

금융권에 따르면 최대 연 9%대 금리 효과를 내세운 청년도약계좌로 신청이 몰리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예·적금 금리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최대 연 9%대 금리 효과를 내세운 청년도약계좌로 신청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도약계좌 신규 신청자는 17만명이었다. 지난달 가입 신청 기간이 7일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하루에 약 2만4300명이었다. 해당 수치는 전달 일평균 가입자 4400명, 총 5만7000명 대비 5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늘고 있는 추세다. 이달 가입 기간은 지난 3일부터 오는 14일까지다. 지난 6일 기준 총 11만6000명이 가입 신청을 했다. 4일간 일평균 신청 인원은 2만9000명으로 지난달보다 증가했다.

저조하던 청년도약계좌 총 가입자는 166만명까지 늘었다. 이는 가입 가능한 청년 추산인구600만명의 28%에 달한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월 70만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은행 이자와 정부 기여금을 더해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정책금융 상품이다. 

지난해 일평균 가입자는 수천 명 수준으로 주목받지 못 했으나 최근 기준금리 인하로 예·적금 금리 또한 내려가며 청년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올해 1월 납입분부터 정부 기여금이 확대 지급돼 수익 효과가 연 최대 8.87%에서 9.54%까지 늘어난 것 또한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시중은행 정기적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지난해 12월 연 3.2%대에 그쳤다. 예금금리 또한 연 2%대에 진입한 지 오래인 데다가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던 저축은행, 인터넷전문은행의 금리마저 연 3% 아래로 내려온 실정이다.

정부도 청년들의 가입을 독려하기 위해 부분인출 서비스, 신용점수 가점,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과의연계 강화 등의 유인책을 내놓고 있다. 만기는 5년이지만 3년 이상 유지한 후 해지해도 연 최대 7% 후반대의 수익효과를 보장된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