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올해 1분기 은행권의 가계대출 문턱이 전분기 대비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다만 경기 침체 등으로 가계·기업의 신용 위험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14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1분기 국내은행 대출태도 종합지수는 -1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27 대비 26p(포인트) 오른 수치다.
이번 조사는 국내은행 18개 등 총 204개 금융기관의 여신업무 총괄담당 책임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향후 3개월 동안 금융기관의 대출태도와 신용위험 전망이 담긴다. 지수가 마이너스(-)면 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플러스(+)일수록 문턱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대출 주체별로 보면 가계 주택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6을 기록하며 전분기(-42) 대비 대출 태도가 크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가계 일반대출(신용대출) 태도 역시 같은기간 -39에서 3으로 플러스 전환했다.
실제로 새해 들어 가계대출 총량이 초기화하면서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전세대출 등 가계대출 제한 조치들도 풀어지는 추세다.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담대 한도도 확대하는 분위기다.
한은 관계자는 "생활안정자금과 주택실수요자 중심의 주담대, 비대면 신용대출 등에서 대출 태도가 완화된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기업대출 태도는 강화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같은 기간 -11에서 -3으로, -17에서 -3으로 각각 마이너스 기조를 유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대출은 대내외 금융·경제여건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자본적정성 관리, 부동산·건설업 등 취약업종 중심의 여신건전성 관리 등으로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국내은행들은 대출수요의 경우 기업, 가계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1분기 국내은행의 차주별 대출수요지수는 25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 3분기(27)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1분기 차주별 대출수요지수 전망치를 작년 4분기와 비교해 보면 △대기업 0→17 △중소기업 8→31 △가계주택 6→19 △가계일반 8→14로 각각 집계됐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대출은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업황부진 등으로 운전자금 필요가 커지면서 중소기업 중심의 증가를 전망한다"며 "가계대출은 주택 및 일반 모두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내다봤다.
신용위험은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1분기 국내은행의 차주별 신용위험지수 종합 수치는 34로 전분기(28)보다 증가했다. 대기업도 같은 기간 11에서 28로, 중소기업도 33에서 39로 각각 상승했다. 가계 역시 22에서 28로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의 신용위험도 소득개선 지연, 채무상환 부담 지속 등으로 경계감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기업의 신용위험은 업황부진, 자금사정 악화 등이 이어지면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