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한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당분간 2%에 근접할 것…기저효과·환율 탓"

11월 물가상승률 1.5%…김웅 부총재보 "환율 영향 12월 이후 가시화 될 것"

박대연 기자 | pdy@newsprime.co.kr | 2024.12.03 10:52:21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모습.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기저효과와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에 근접해 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3일 본관에서 김웅 부총재보 주재로 물가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전월 대비 0.2%p(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 1.6%로 내려간 뒤 3개월 연속 1%대에 머물며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석유류 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내렸다.

김 부총재보는 "11월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말 유가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 유류세 인하율 축소조치 등의 영향으로 1.5% 상승했으며 최근 오른 환율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환율이 상승했지만 파급시차 등을 고려할 때 영향은 12월 이후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기저효과와 환율 상승 영향으로 물가상승률이 다시 2%에 근접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내수흐름과 공공요금 조정, 연말 연초 기업 가격조정 등은 변수라고 지적했다. 

김 부총재보는 "향후 물가 전망 경로는 환율·유가 추이, 내수 흐름, 공공요금 조정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말·연초 기업 가격 조정의 물가 파급효과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근원물가는 현 수준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식료품과 에너지물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 9월 2.0%에서 10월 1.8%로 하락했다가 11월엔 1.9%로 소폭 다시 상승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