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고금리 여파로 지난해 30대 이하 청년층은 주택을 매각한 반면,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주택 매입에 적극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1년 전보다 집을 한 채 이상 추가로 보유한 사람은 102만6000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2년(96만2000명) 대비 6.7% 증가한 수치로 2년 만에 100만명대를 회복한 수준이지만 주택 시장 활황기였던 2020년(140만8000명)과 2021년(139만300명)에는 여전히 못 미치는 수준이다.
눈에 띄는 것은 주택 시장 내 세대 간 격차다. 지난해 11월 기준 주택 소유자는 1561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30만9000명 증가했다. 60대는 16만8000명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50대(8만6000명), 70대(8만5000명), 80대 이상(7만2000명) 등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30대 이하 주택 소유자는 8만3000명 줄었고 40대 역시 1만9000명 감소하며 2030세대와 함께 감소세를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대출 이자를 견디지 못한 2030세대가 집을 판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 주택을 마련했던 젊은 층이 매도에 나선 반면 자금력이 있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이를 적극적으로 매입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서울 주택 시장의 인기는 여전히 높았다. 지난해 서울 내 개인 소유 주택은 227만2623가구로, 이 중 외지인 소유 주택 비중은 16.6%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6년 이후 역대 최고치다.
서울 주택을 소유한 외지인들은 주로 경기 고양시(6.6%), 경기 용인시(5.8%), 경기 성남시(5.7%)에 거주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금리가 계속 높게 유지될 경우 이러한 세대 간 격차는 더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