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두나무 가상자산 학술행사 'D-CON 2024'에서 개회사하는 이석우 두나무 대표. ⓒ 두나무
[프라임경제] "가상자산이 국경의 구애를 받지 않듯 우리도 시야를 넓혀 글로벌 무대를 바라봐야 한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13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디지털자산 컨퍼런스(D-CON, 디콘) 2024'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상자산을 활용한 새로운 시도들이 늘어나는 동시에 가상자산 관련 제도가 점차 고도화되고 있음을 느낀다"며 이같이 말했다.
디콘은 가상자산을 연구하는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들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모색하는 학술 행사다. 올해 행사는 오는 14일 열리는 '업비트 D 컨퍼런스(UDC)'의 사전 프로그램으로 운영됐으며 약 400명이 참가했다.
이 대표는 "주요국들의 가상자산 정책 움직임에 따라 우리 제도도 함께 변화해야 하고, 글로벌 가상자산 기업과 경쟁할 수 있게 국내 가상자산 산업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나의 테크 기업이 전 세계 시장을 장악하는 일이 흔해졌다"며 "글로벌 시장을 누비는 국내 가상자산 기업을 육성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부연했다.
이날 컨퍼런스는 △가상자산 활용 사례와 경제적 효과 △가상자산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가상자산의 법적 성격에 관한 쟁점과 과제 등 3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먼저 '가상자산 활용 사례와 경제적 효과'를 주제로 하는 첫 번째 세션에서는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이 우리 생활에 가져올 변화와 그 경제적 가치를 논의한다.
임병화 성균관대 핀테크융합전공 교수, 민세진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 정석문 프레스토리서치 센터장, 김동환 원더프레임 대표가 참여해 심도 있는 토론을 이어간다.
이어 '가상자산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한 두 번째 세션에서는 미국과 일본 등 주요 국가의 가상자산 산업 육성 움직임을 점검하며, 국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방안을 모색한다.
한서희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 김재진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 상임부회장, 이종섭 서울대 교수, 조재우 한성대 교수가 논의에 참여한다.
마지막 세션인 '가상자산의 법적 성격'에서는 가상자산의 법적 지위와 그에 따른 과제를 중심으로 전문가들이 논의를 펼친다.
신지혜 한국외대 교수, 강지성 광주지방법원 판사, 고유강 서울대 교수, 김상중 고려대 교수, 황성민 서울회생법원 판사가 참여해 법적 쟁점을 다룬다.
한편, 두나무는 디콘에 이어 자체 블록체인 컨퍼런스 '업비트 D 컨퍼런스(UDC) 2024'를 오는 14일 진행한다. UDC는 블록체인이 현실 세계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자리로,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강연과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