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29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제9회 '금융의 날' 기념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최근 은행의 이자수익이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판이 이어지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금융이 과연 충분히 혁신적인가에 대한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29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개최된 '제9회 금융의날' 기념식에서 "과거의 관행이나 제도가 만드는 울타리에 안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든 금융인들이 돌아봐야 한다"며 금융권 관계자에게 성찰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저축의 범위가 확대되는 것에 맞춰 금융도 끊임없이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이라는 발명품이 있었기 때문에 현대 기업활동이 있을 수 있고, 우리가 다양한 재화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결국 금융혁신의 결과"라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 교수의 말을 인용했다.
이어 "금융이 해야 할 일,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있다"며 "새로운 시도가 혁신의 출발이므로 이를 격려하는 문화와 제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금융혁신으로 인해 소외되는 부문이 생길 수 있는 점에 대해서는 우려감을 표했다.
김 위원장은 "혁신은 늘 그 혜택을 받지 못하는 소외의 문제를 잉태한다"며 "혁신이 소외 부문을 포용해야만 지속가능성을 갖게 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금융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금융회사가 효율성을 추구하면서, 금융 서비스에서 소외되는 금융소비자에 대한 우려와 지적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금융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금융회사가 효율성을 추구하면서 보다 나은 금융서비스는 물론이고 기존 서비스에서 소외되는 분들에 대한 우려와 지적이 커지고 있다"며 포용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는 김 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금융발전 유공 수상자와 등 약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발전 유공 포상으로 혁신금융, 포용금융, 저축·투자 부문에서 총 191점의 포상이 수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