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보다 0.2% 감소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0.2% 감소하며 다섯 분기 연속 이어지던 성장세가 꺾였다. 수출은 늘었지만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설비투자가 모두 부진했고, '깜짝 성장'했던 지난 1분기(1.3%)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0.2% 감소했다. 역성장은 지난 2022년 4분기(-0.3%) 이후 여섯 분기 만이다.
다만 상반기 기준으로는 2.8%(전년 동기 대비) 성장해 지난 2022년 상반기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수출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9% 늘었다. 그러나 수입이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2% 늘어나면서 수출 증가세를 압도했다.
수출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9% 증가하고, 수입은 원유,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2% 늘었다.
민간소비는 서비스 소비(교육 등)가 소폭 증가했지만, 재화소비(승용차·의류 등) 부진으로 0.2% 감소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를 중심으로 0.7%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주거용)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1.1%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자동차)가 늘었으나 기계류(반도체제조용장비 등)가 줄어 2.1% 하락했다.
경제활동별로 농림어업은 축산업과 어업이 늘며 5.4% 증가했다. 제조업은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0.7%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수도, 하수 및 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등이 줄어 0.8% 감소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5.4% 낮아졌다. 서비스업은 운수업 등이 늘었으나 정보통신업, 도소매·숙박음식업 등이 줄면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 대비 1.3% 줄어 실질 GDP 성장률(-0.2%)을 밑돌았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우리 경제는 양호한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가 안정되면 내수도 완만히 회복되고, 연간으로는 5월 전망(2.5%)에 대체로 부합하는 성장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