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은행 대출 연체율이 대기업대출을 제외한 전 부문에서 상승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고금리와 경기불황 등 대내외적인 영향으로 국내은행 연체율이 두달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개인사업자(자영업자) 연체율이 9년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빠른 추세로 상승하고 있어 자영업자의 어려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16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공개한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국내 은행 대출 연체율은 0.51%를 기록하며 전월(0.48%) 대비 0.03%p(포인트) 상승했다. 전년 동월(0.40%) 대비 0.11%p 오른 수준이다.
은행 연체율은 지난 2월에도 0.51%를 기록하며 4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 3월 소폭 하락했다가 4월 반등한 뒤 두 달째 상승세다.
부문별로 보면 대기업 대출을 제외한 전 부문에서 연체율이 증가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58%로 전월 대비 0.04%p 상승했다. 대기업대출은 0.05%로 전월(0.11%)보다 0.06%p 하락했고, 중소기업대출은 0.72%로 전월(0.66%)보다 0.06%p 높아졌다.
중소기업대출 중에서도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상승폭이 가장 컸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69%로 전월 대비 0.08%p, 전년 동기 대비 0.24%p 뛰었다. 지난 2014년 11월(0.72%)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0.75%로 전월 대비 0.05%p, 전년 동기 대비 0.2%p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2%로 전월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연체율은 0.27%로 같은 기간 0.01%p 올랐다.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은 0.85%로 0.06%p 높아졌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 이전 10년 간의 국내은행 연체율과 비교하면 현 시점의 연체율이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은행 연체율이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지난 4월과 비교해서는 상승폭이 다소 둔화했다"며 "아직 코로나 이전 장기평균(0.78%)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고 국내은행의 손실흡수능력도 과거 대비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금리가 지속되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앞으로 채무조정을 활성화하고 상·매각 등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와 대손충당금의 충실한 적립을 유도할 예정"이라고 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