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환당국과 국민연금이 외환스와프 한도를 증액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선을 위협하는 등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외환당국과 국민연금공단이 외환스왑 거래 한도를 증액하기로 했다. 외환시장 불균형에 대비하기 위한 수단이 강화된 셈이다.
한국은행·기획재정부(이하 외환당국)는 국민연금공단(이하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올해 말까지 500억달러로 증액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외환당국과 국민연금이 지난해 12월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350억달러로 합의한지 6개월 만에 추가 증액이다.
외환스와프는 양 기관이 외환시장을 이용하지 않고 약정한 환율로 원화와 달러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계약 만기 시 교환했던 자금을 다시 돌려줘야하기 때문에 외환보유액 감소에도 영향이 적다.
국민연금은 해외투자에 나서기 위해 수십조원에 달하는 달러를 사들이는 외환시장의 '큰손'이다. 이들의 수요만 시장에서 사라져도 환율 급등세를 막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 때문에 외환당국과 국민연금의 외환스와프는 시장에 개입하기 위한 간접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외환당국 관계자는 "외환시장이 불안정할 때 국민연금의 현물환 매입 수요를 외환스와프로 흡수할 수 있다"며 "외환시장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연금도 해외투자에 수반되는 환율 변동 리스크를 완화하고 외화자금 관리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고 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