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10일부터 15일까지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국을 각각 국빈 방문한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7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중앙아시아 3개국의 순방 일정 및 의의에 대해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오는 10일부터 15일까지 중앙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한다. ⓒ 연합뉴스
먼저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오는 10일부터 11일까지 1박 2일간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해 △한-투르크메니스탄 협력 확대 방안 및 MOU 서명 △독립기념탑 헌화 및 식수 △비즈니스 포럼 기조 연설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어 6월11일부터 13일까지 2박 3일간 카자흐스탄을 국빈 방문해 △고려인 동포 및 재외 국민 동포간담회 △친교 만찬 △카자흐스탄 국립감사기념비 헌화 △한-카자흐스탄 정상회담 및 MOU 서명 △비즈니스 포럼 참석 등의 일정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6월13일부터 15일까지 2박 3일간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해 △동포 간담회 △한-우즈베키스탄 정상회담 및 협정·MOU 서명식 △비즈니스포럼 및 기조연설 △창업촉진센터 방문 △국빈 만찬 △세계문화유산인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시 사마르칸트 방문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다음으로 김 1차장은 이번 순방 의의와 기대 성과에 대해 언급했다.
김 1차장은 "중앙아시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지역 분쟁 등으로 글로벌 복합 위기가 확산되면서 그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지역"이라며 "특히 최근 들어 중앙아시아는 독립국가연합 CIS 지역과 유럽 진출을 위한 다국적 기업들의 교두보로 부상하고 있고, 새로운 물류 거점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고 했다.
이어 "중앙아시아는 지역적으로도 우리나라와 특별한 역사적 인연을 맺고 있고, 우리 기업들은 냉전 종식 이후 1990년대부터 중앙아시아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성과를 쌓아왔다"며 "이번 중앙아시아 순방은 중앙아시아 5개 국가 중에서 경제와 인구 측면에서 잠재력이 크고 우리와 관계가 긴밀하며 우리 기업들이 활발하게 진출해 있는 3개 나라를 방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