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1일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AI 안전, 혁신, 포용을 조화롭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화상으로 주재한 'AI 서울 정상회의' 개회사에서 "생성형 AI 등장 이후 AI 기술이 전례 없는 속도로 발전하면서 인류 사회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서울선언' 등 정상 간 첫 합의가 도출됐고, 의제도 안전에서 혁신과 포용까지로 확대되면서 AI 정상회의는 포괄적인 AI 거버넌스를 논의하는 유일한 정상급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 대통령실
윤 대통령은 "AI의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딥페이크를 통한 가짜뉴스와 디지털 격차 등 AI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며 디지털 규범의 정립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대한민국 정부가 작년 9월 △자유 △공정 △안전 △혁신 △연대의 5가지 원칙을 담아 '디지털 권리장전'을 수립한 것을 언급했다.
지난 해 11월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서 개최된 'AI 안전성 정상회의'에서 AI 안전을 논의한 윤 대통령은 이날 개최된 'AI 서울 정상회의'가 혁신과 포용까지 논의의 지평을 넓혔다고 자평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디지털은 국경을 넘어 초연결성을 지닌 만큼 글로벌 차원의 디지털 규범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UN 총회에서 AI에 대해 최초로 결의한 'UN AI 결의안'과 G7 차원에서 안전한 AI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는 '히로시마 AI 프로세스'도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AI 서울 정상회의는 그동안의 노력을 결집하며 글로벌 차원의 AI 규범과 거버넌스를 진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안전 △혁신 △포용 3가지를 강조했다.
먼저 윤 대통령은 "AI가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우리 사회의 안녕과 민주주의가 훼손되지 않도록 AI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런 점에서 영국,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AI 안전연구소 설립 노력을 환영한다. 대한민국도 AI 안전연구소 설립을 추진해 글로벌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AI가 가진 커다란 잠재력을 구현해내기 위해서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AI의 혁신을 추구해야 한다"며 "이러한 AI 혁신은 글로벌 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부여하고, 환경오염 등 전 지구적인 난제를 풀어가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윤 대통령은 "거주지역과 소득 수준에 관계 없이 누구나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AI의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미래 세대에게 혁신의 혜택이 이어지도록 지속 가능한 AI 발전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 참여한 기업들은 '프론티어 AI 안전 서약'에 참여했다. ⓒ 대통령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의에 참여한 △호주 △캐나다 △유럽연합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대한민국 △싱가포르 △영국 △미국 대표들은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위한 서울 선언(이하 서울 선언)'과 그 부속서인 'AI 안전 과학에 대한 국제협력을 위한 서울 의향서'를 채택했다.
윤 대통령은 "금일 회의를 통해 각국 정상들은 AI 안전, AI 혁신, AI 포용이라는 3대 목표에 공감대를 이뤘고, AI의 위험과 기회를 균형있게 다뤄야 한다는 기본 방향을 공유하게 됐다"며 "특히 '서울 선언'은 정상 간 합의로, 이는 블레츨리 파크에서 이룬 각료 간 합의를 보다 격상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AI 정상회의가 글로벌 AI 거버넌스 구축을 선도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차기 개최국인 프랑스의 리더십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