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대통령실, 'AI 서울 정상회의'서 안전·혁신·포용 거버넌스 제시

AI 부작용·악용 문제 대응 필요…AI 안전연구소 설치 결정

김경태 기자 | kkt@newsprime.co.kr | 2024.05.20 17:37:12
[프라임경제] 한국과 영국이 오는 21일부터 공동으로 개최하는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안전, 혁신, 포용'이라는 AI 거버넌스 3원칙을 국제사회에 제시할 예정이라고 대통령실이 20일 밝혔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용산 대통령실 1층 브리핑룸에서 이같이 밝히고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 등장 이후 AI의 위험성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면서 작년 11월 영국에서 개최된 'AI 안전성 정상회의'에서는 AI 안전에 초점을 두고 논의했다"며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는 1차 회의의 성과를 이어받으면서도 AI가 가져올 기회에 함께 주목할 것"이라며 3원칙을 제시했다.

먼저 AI글로벌 거버넌스의 첫 번째 원칙은 '안전'이다. AI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 AI의 부작용이나 AI를 악용하는 문제들에 대해 대응한다는 얘기다. 

이에 지난 1차 회의에서 각국이 AI의 위험을 평가‧관리하기로 합의했고, AI 안전연구소 설치와 글로벌 네크워크 구축 등 각 국의 이행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AI 안전연구소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박 수석은 "이번 회의를 통해서는 AI 안전에 대한 글로벌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기업들이 안전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도록 촉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두 번째 원칙은 '혁신'이다. AI 기술 혁신을 통해 인류의 미래 성장동력을 찾고, 인류가 직면한 난제들도 해결할 수 있다. 

이번 회의는 AI 혁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한편 자유롭고 개방적인 AI 혁신 생태계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논의할 계획이다. 

마지막 세 번째는 '포용'이다. 박 수석은 "대통령께서도 디지털 권리장전을 통해 강조한 바 누구나 AI와 디지털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며 "이번 회의를 통해 계층 간 국가 간 AI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을 강조하는 한편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AI를 물려주기 위한 방향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박 수석은 "이런 논의 결과들은 정상 합의문에 포함돼 발표될 예정이다"며 "현재 참여국 간 문안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둘째 날인 22일에는 'AI 서울 정상회의'의 장관세션과 'AI 글로벌 포럼'이 개최된다. 특히 AI 글로벌 포럼은 작년 UN 총회와 APEC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차원의 AI·디지털 규범 정립을 위해 윤 대통령이 제안한 바 있다. 

박 수석은 "AI 글로벌 포럼은 'AI 안전·혁신·포용을 위한 거버넌스'를 주제로 각국 정부, 기업, 전문가,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함께 글로벌 AI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킬 계획"이라며 "정상세션은 AI 위험과 부작용 대응에 좀 더 집중해 20개국 이상의 정부, 기업, 학계, 시민사회가 함께 'AI 안전성 역량 강화' 및 '지속 가능한 AI 발전 촉진'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다룰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 수석은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를 바탕으로 확보한 디지털·AI 규범의 글로벌 리더십을 통해서 우리나라가 AI 선도 국가로서의 글로벌 영향력을 높이고, AI G3 국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