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尹 "국가유산, 발전·확산시켜 '미래 지향형' 체계로 나갈 터"

국가유산청 출범식 참석…국가유산 대상·범위 크게 확대

김경태 기자 | kkt@newsprime.co.kr | 2024.05.17 15:13:20
[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17일 "'문화재'라는 오랜 이름이 '국가유산'으로 바뀌는 역사적인 날이다"며 "그동안 문화재 관리는 유산을 보존하는 데 집중하는 '과거 회귀형' 이었다면 앞으로는 국가유산을 발굴, 보전, 계승하는 동시에 더욱 발전시키고 확산하는 '미래 지향형' 체계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국가유산청 출범식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며 "국가유산을 세계에 널리 전하고 알리며 80억 세계인과의 문화적 교감을 확대해 대한민국을 명실상부 '글로벌 문화 중추 국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국가유산청 출범 행사는 지난 2월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문화재청의 이름이 국가유산청으로 바뀌어 새롭게 출범한 것을 대내외에 알리고, 새로운 국가유산 체계를 도입함으로써 국민이 행복한 국가유산을 만들겠다는 것을 다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일제강점기 및 6·25전쟁 중 국가유산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 선생과 차일혁 경무관의 후손도 행사에 함께해 의미를 더했다. ⓒ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국가유산의 대상과 범위도 크게 넓히겠다"며 "무형 유산은 기능 전수라는 좁은 틀에서 벗어나 풍습, 민속, 축제를 비롯한 우리 민족 고유의 삷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담게 하고, 전국 곳곳의 아름다운 자연유산도 이제 국가유산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국가유산은 그 자체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다"며 "국가유산을 우리 사회 발전의 동력이자 국민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문화자산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들이 국가유산을 함께 발굴하고, 배우며 즐길 수 있도록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데 더욱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출범한 국가유산청은 문화재의 명칭과 관리체계를 △시대변화 △미래가치 △국제기준을 반영해 △문 △자연 △무형유산으로 개편하고, 국민 편의를 높이는 다양한 국가유산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며, 윤 대통령은 이를 통해 정부 국정과제인 '전통 문화유산의 미래 문화자산 도약'을 실현해 나갈 방침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