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통령실은 라인야후 문제와 관련해 "정부는 무엇보다 우리 국민과 기업 이익을 최우선에 놓고 필요한 모든 일을 한다는 것이 일관된 입장"이라고 13일 밝혔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라인야후 사안에 대한 그동안의 경과와 정부 입장을 말씀드리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네이버 지분 매각과 관련해 "네이버가 지분 매각을 하겠다, 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아니다"고 했다. ⓒ 연합뉴스
성 실장은 "이런 원칙 하에 정부는 지금까지 네이버 입장을 최대한 존중해 그동안 정부 대응에 반영해왔고, 관련해 네이버에 추가적인 입장이 있다면 그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모든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성 실장은 라인야후 문제와 관련해 그동안 정부 대응 경과에 대해 언급했다.
성 실장은 "정부는 그동안 네이버와 긴밀히 협의하고 네이버의 의사를 확인했을뿐 아니라 이에 입각해 대응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이와 관련해 외교 채널을 통해 일본 정부 입장도 확인해 왔다"고 했다.
이어 성 실장은 "정부는 지난 2023년 11월 네이버 클라우드 침해 사고가 신고된 직후부터 네이버와 사실관계 및 대응방안 논의를 시작했고, 네이버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해 네이버가 중장기적 비즈니스 전략에 입각해 의사결정을 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성 실장은 "그 과정에서 지난 4월26일 주일한국대사관을 통해 일본 총무성 관계자를 만나 행정지도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했고, 4월29일 네이버측과 면담을 진행해 일본 입장을 공유하는 등 네이버와 긴밀히 소통해 왔고, 현재도 계속 소통중"이라며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과 사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일 경우 적절한 정보보안 강화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이를 최대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성 실장은 "네이버가 자본구조변경 외 정보보안강화 등 필요한 정부 차원 조치와 지원을 모든 할 것"이라며 "네이버는 정부와 국민 관심이 높은 이 사안에 대해 정보보안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성 실장은 정치권에 초당적 협조 요청을 했다.
성 실장은 "일각에서 반일을 조장하는 정치 프레임이 국익을 훼손하고 우리 기업을 보호하고, 이해관계를 반영하는데 도움이 안된다"며 "정부는 우리 기업이 해외로부터 어떠한 불힙리한 처분이나 여건 없이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고, 우리 기업 의사에 조금이라도 반하는 부당한 조치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