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제품을 직접 구입하는 '해외직구'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제품을 직접 구입하는 '해외직구'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들어온 전자상거래 물품은 8881만5000건으로 2022년 5215만4000건 대비 70.3% 늘었다.
중국 해외직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지난해 전체 통관된 전자상거래 물품은 1억3144만3000건으로 36.7% 늘었다. 전체 해외직구가 늘어나는 속도보다 중국에서 물건을 직접 구매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가 가파른 셈이다.
중국발 직구 규모는 2020년 2748만3000건에서 2021년 4395만4000건, 2022년 5215만4000건 등으로 매년 큰 폭 증가를 거듭하고 있다.
전체 해외 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20년 43%, 2021년 50%, 2022년 54%, 지난해 68%로 해마다 커지고 있다.
금액으로 보면 지난해 중국 해외직구의 규모는 23억5900만 달러(약 3조1000억원)였다. 2022년 14억8800만 달러(약 1조9795억원)보다 58.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해외직구는 47억2500만 달러(약 6조2859억원)에서 52억7800만 달러(약 7조215억원)로 11.7% 증가했다.
중국발 직구가 전체 해외 직구에서 차지하는 금액 비중도 31%에서 45%로 커지며 미국(14억 5300만달러) 등을 압도해 직구 국가 1위에 올랐다.
이처럼 가파른 중국발 직구 급증세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 온라인 플랫폼이 파격적이고 공격적으로 국내 시장 마케팅에 나선 결과로 분석된다.
한편, 중국발 직구가 급증하면서 중국산 '짝퉁'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관세청에 적발된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은 총 6만8000건으로, 그 대부분인 약 96%가 중국산이었다. 중국산 짝퉁 적발 건수는 2022년 6만건에서 지난해 6만5000건으로 8.3%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