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출국장 전경.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 대비 전국 국제공항의 여객 회복률이 7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 공항 중 회복률이 가장 높은 곳은 89%를 기록한 청주국제공항이었다.
24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1월 인천·김포 등 전국 8곳의 국제공항 여객 회복률은 74.1%였다. 청주공항의 경우 이 기간 국제선 노선을 활용한 여객이 42만618명으로 회복률 89.3%를 기록했다.
청주공항은 올해 1월만 해도 정기 국제노선이 없었지만 지난달 기준 6개국 10개 노선으로 크게 늘었다. 충청북도와 청주시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티웨이항공·이스타항공·에어로케이 등 저비용항공사(LCC)가 취항했다.
두 번째로 회복률이 높은 곳은 우리나라의 관문 공항 역할을 하는 인천국제공항이었다. 올해 1~11월 인천국제공항을 사용한 여객은 4997만 명이다. 2019년 같은 기간 6417만 명의 77.9%에 달하는 수치다.
뒤를 이어 김포공항이 차지했다. 김포공항의 국제선 여객은 올해 288만명이 사용하며 회복률 73.9%를 기록했다. 2019년 당시 김포공항 여객은 390만명이었다.
이와 관련해 한국공항공사는 "김포공항은 인천공항보다 의존도가 높은 중국 노선에서 특히 회복률이 저조해 전체 수치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며 "연말까지 321만명이 이용, 2019년의 약 75%로 회복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외에 김해공항 회복률은 66%, 제주공항은 44%, 대구공항은 41.3%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된 뒤 인천공항 중심으로 국제선이 확보되자 항공사들이 지방 공항에서 운항하던 여객기를 인천에 배치한 것도 지방 공항의 여객 회복률 부진에 한몫했다는 것이 한국공항공사 측의 설명이다.
무안공항의 경우엔 장기간 이용 저조 현상이 이어지면서 군 공항과의 통합이 논의되고 있다.
한편 국토부 통계에 따르면 양양공항 국제선 노선은 2019년 2만6천명, 올해 5만4천명이 이용해 회복률이 207.5%로 나타났다. 이는 양양공항을 기반으로 운영한 LCC 플라이강원이 지난해 양양발 국제선에 취항해 올해 초까지 운항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양양공항은 플라이강원이 지난 5월 경영난으로 운항을 전면 중단한 뒤 약 7개월간 국제선을 운항하지 않으면서 단순 회복률을 비교하기는 적절치 않아 순위에서 제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