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밤 뉴욕 증시는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둔화했음에도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둔 차익 실현에 혼조세를 보였다.
22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18.38p(-0.05%) 하락한 3만7385.97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88p(0.17%) 오른 4754.63에 마감했다. 특히 S&P500지수는 8주 연속 상승하며 2017년 이후 가장 오랫동안 상승 랠리를 이어갔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9.11p(0.19%) 뛴 1만4992.97에 장을 마쳤다.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호하는 물가지수가 2021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에 연준의 3월 금리 인하 기대가 커졌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11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상승했다. 2021년 4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는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수치로 시장이 예상한 3.3%와 전달의 3.4%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11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달 대비로는 0.1% 상승해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고 10월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11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6개월치를 연율로 환산하면 1.9%로 Fed의 목표치인 2%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Fed의 목표치를 향해 순항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포함한 11월 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6% 올라 전달의 2.9% 상승에서 둔화했다. 이는 2021년 2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전월 대비로는 0.1% 하락해 전달의 보합 수준에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PCE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로 하락세를 보인 것은 2020년 4월 이후 처음이다.
국제유가는 앙골라의 석유수출국기구(OPEC) 탈퇴 여파가 이어지며 이틀 연속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33달러(0.5%) 내린 배럴당 73.5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북해산브렌트유 가격은 0.32달러(0.4%) 하락한 배럴당 79.07달러를 기록했다.
유럽증시는 혼조 양상을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전일대비 0.03% 내린 7568.82로 거래를 마감했다.
반면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40 지수는 전일대비 0.11% 오른 1만6706.18을 기록했으며,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일대비 0.04% 오른 7697.51로 거래를 마쳤다.
한편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는 전일대비 0.07% 내린 4521.47로 거래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