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우리나라가 저성장의 늪에서 빠져나와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퍼스트 무버로 전략을 전환해야 한다"며 "국가 R&D 체계도 이러한 방향에 맞춰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2층 자유홀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민간위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지난주 영국 왕립학회에서 열린 한영 최고 과학자 과학기술 미래포럼에 참석했던 것에 대해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2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2기 신규 과학기술자문회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오찬을 가졌다. ⓒ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국가의 R&D 재정 지원은 민간과 시장에서 투자하거나 도전하기 어려운 기초 원천 기술과 도전적인 차세대 기술에 중점적으로 지원된다"며 "글로벌 공동 연구와 인적 교류를 확대해 미래세대의 역량을 키워나가는 데에도 정말 필요한 것이라는 확신을 더욱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투자해 우리 미래의 성장과 번영을 앞당겨야 할 것"이라며 순방 계기때마다 미래세대를 만나 약속한 부분 및 스탠포드 대학과 영국왕립학회에서 한미일과 한영 간 과학기술 협력 파트너로서의 협력과 연대를 제안했던 부분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이것은 우리 R&D 체계를 개혁하고, 규제 혁파를 함으로써 우리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과학기술 연구의 인적·물적 허브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라며 "적시에 연구가 지원될 수 있도록 예타를 간소화하고, 예산 집행을 유연하게 하며, 연구에 필요한 장비 조달이라든지 이런 지원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조달체계 개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세계의 연구자들이 한국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를 하고 싶어 하고, 나아가 한국에 와서 연구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해야 한다"며 "그렇게 해야 우리 나라를 글로벌 과학기술 허브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은 "우리 R&D가 세계 최고의 미래 인재를 키우고, 또 세계 인재들이 모여들게 만드는 그러한 지원체계로 거듭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위원들님께서 그간의 경험과 지혜를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